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등 국토 절반 이상을 장악한 북부동맹이 오는 26일 독일 베를린에서 아프간의 미래를 논의하자는 유엔 제안을 수락, 전후 아프간 정부구성을 위한 논의가 활발해질 전망이다.
아프간 정파회의는 탈레반이 빠져 반쪽 회의로 전락했지만 이번 회의를 통해 모든정파와 관련국들이 2년간의 과도정부를 거쳐 거국 내각을 구성할 것이라는 내용의 성명을 도출될 경우 아프간 재건지원등 국제사회 협력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라크다르 브라히미 유엔 아프간 특사는 20일 과도 정부가 지난 2주동안 카불과 다른 지역에서 탈레반 축출에 나섰던 다양한 아프간 민족 및 종파 출신 대표 30명 미만으로 구성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파키스탄이나 러시아 등 외국의 입김보다는 정파회의를 통한 '내부 해결방안'이 나와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북부동맹은 현재 수도 카불을 비롯한 국토의 대부분 장악하고 있으나 파슈툰족을 비롯한 모든 종족들의 신임을 받지는 못하고 있어 거국 내각 구성시 진통이 잇따를 전망이다. 북부동맹 역시 이를 의식, 권력 분할의사를 밝히고 있다.
한편 40년간 통치끝에 지난 1973년 추방된 파슈툰족 출신의 자히르 샤 전(前) 아프간 국왕은 종족 통합의 구심점이라는 자신을 향한 당초의 기대를 부응시키지 못하고 있다.
유엔 평화유지군 파병 문제도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북부동맹은 이미 영국을 비롯한 외국군의 아프간내 확대에 거부감을 보이고 있다.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터키 등 이슬람 국가로 구성된 평화유지군이 파견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군사력보다는 상징적 의미를 갖는데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미국과 일본, 한국 등 세계 21개국 및 유럽 연합(EU) 대표들은 20일 워싱턴에서 "아프간 재건지원에 관한 고위관리 회의"를 열고 아프가니스탄의 전후 복구 및 재건 방안을 논의했다.
류승완 기자 ryusw@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