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일·대만 화섬업계도 자구책-아시아권 감산 도미노

한국, 일본, 대만 등 아시아권 주요 화섬 생산국들이 잇단 감산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5일 업계와 한국화섬협회 등에 따르면 국내 화섬업계가 올들어 30% 수준의 감산을 추진한데 이어 내년에도 비슷한 규모의 감산을 검토 중이고 일본과 대만도 이미 감산에 돌입했거나 이를 적극 추진 중이다.

대만 화섬업계는 화섬시장의 불황과 중국 화섬 가격의 하락 등으로 최근 20~30%수준의 감산에 나섰다.

중국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에 따른 시장확대가 변수이긴 하지만 이같은 감산 움직임은 점차 확대될 것이란 것이 대체적인 전망이다.

최대 화섬시장인 중국에서 가격경쟁력이 약화되면서 최근 대만업체의 입지는 점차 축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대만의 입장에서는 중국시장을 대체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전에는 화섬업계의 생산과잉 문제 해결은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일본의 경우도 스포츠 의류용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생산하는 쿠라레이(KURARAY)가 최근 폴리에스테르 원사 생산량의 35% 감산을 선언했다.

이에 따라 이 회사의 폴리에스테르 원사 생산량은 2만t에서 1만3천t 수준으로 줄었다.

또 데이진(TEIJIN)은 오는 2004년까지 일본내 폴리에스테르 원사 생산량을 40% 줄이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화섬업계도 20년 이상 노후설비와 보빙사, DTY 등 경쟁력 없는 시설 폐기, 자율적인 업계의 공급과잉 해소 노력, 해외로의 설비 이전 등의 방법을 통해 내년에도 30% 수준의 감산에 돌입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주요 화섬 생산국들의 이같은 움직임은 최대 화섬시장인 중국의 자급률 제고와 국내외적 공급과잉에 따른 단가하락, 장기적인 불황 등에 따른 자구노력 차원이라는것이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