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은행방범 허점 투성이

11일 기업은행 대구 성서공단지점에서 발생한 엽총 복면강도사건은 총체적으로 허술한 방범체계 때문이라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경찰의 연말 방범활동 강화속에 총포사에서 도난당한 엽총의 범행 사용, 늑장출동 시비를 비롯한 경찰의 초동수사 미흡, 은행과 경찰의 비상연락망 부재, 구멍뚫린 검문검색망, 은행자체의 경비 소홀 등이 뒤섞여 이번 사건을 부를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초동수사 미흡=이날 범인이 기업은행에 침입한 시간은 오후 3시 14분쯤, 사설경비업체 및 경찰의 출동은 각각 3시 23분 30초, 25분쯤이었다. 사건발생 즉시 출동을 원칙으로 하는 경비업체, '경찰은 3분거리에 있다'는 슬로건이 무색했다.

당시 긴급 대피한 고객 및 직원들은 즉시 112신고를 했으나 경찰이 10분이 경과한 뒤 출동해 범인을 놓쳤다고 주장하고 있다. 고객 최모(48)씨는 "10여명이 밖으로 나오자 마자 동시에 112로 신고했다"고 진술했다.

경찰은 "전산기록에 착오가 발생할 수 있지만 신고 시간이 오후 3시19분으로 기록돼 있다. 신고 접수 즉시 출동해 불과 5분만에 파출소에서 4㎞정도 떨어진 현장에 도착했다"고 해명했다.

▲비상연락망 허술=고액의 현금을 취급하는 은행과 파출소간에 비상연락망이 없었다. 구역 담당인 월성2동파출소는 인근의 다른 3개 은행과는 비상벨 장치가 있었지만 사건이 발생한 기업은행은 파출소와 거리가 멀다는 이유로 비상벨 설치를 원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은행과 계약을 맺고 있는 ㅇ경비업체의 늑장 출동 시비도 따랐다. 은행직원 표모(47)씨는 "강도가 침입한 뒤 10초 정도 뒤에 경비업체와 연결된 비상벨을 눌렸지만 도착은 범인이 도주한 뒤 1분 지나서였다"고 주장했다.

▲경비 소홀=은행뿐 아니라 경찰의 경비도 허점을 드러냈다. 하루평균 10억원 정도가 오가는 금융기관이지만 사설경비원은 사복을 입은 1명뿐이고, 이마저 사건당시 현금지급기 고장 수리 때문에 은행안에 없었다.

지난 5일부터 연말 방범활동을 강화한 경찰은 전경 및 경찰관 2,3명을 금융기관에 배치하는 '연말 방범비상령'이 보통 25일 전후 발령된다는 이유로 금융기관에 대한 경비와 순찰에 소홀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검문검색 구멍=경찰은 사건발생 즉시 비상령을 발동, 인근 성서공단과 구마·88고속도로 등에서 검문검색을 강화했다고 밝혔지만 목격자 확보도 제대로 하지 못했다. 범인의 차량도 3시간이 지난 오후 6시 10분쯤 범행 현장에서 차량으로 10분 거리인 달성군 화원면 천내리에서 범인이 불태우고 달아난 뒤에야 찾았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