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대 노총의 지원속에 국가 기간산업인 철도·가스·발전 노조가 25일 파업 돌입을 예고, 국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같은 날 민주노총이 근로조건 후퇴를 전제로 한 주5일근무제 도입 반대 파업을 선언, '올 노동계의 춘투가 앞당겨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일고 있다.
민영화 저지와 근로조건 개선을 요구하는 철도노조의 경우, 대구·경북지역 4천여명을 비롯해 전국 2만3천여명의 노조원들이 25일 새벽 4시부터 파업에 들어가기로 결의했다.
철도노조원들은 이에 따라 21일부터 사복근무 '준법투쟁'에 나섰으며 같은 날 오후 7시부터 집단농성에 돌입했다.
철도노조 관계자는 "철도 민영화 철회조치와 근로조건에 대한 개선안이 나오지 않는 한 파업돌입은 불가피하다"며 "정부가 스스로 주5일제를 들고 나오는 판에 24시간 맞교대를 하는 철도 근로자의 근로조건은 전혀 나아지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철도노조에 따르면 대구·경북지역에서 비노조원은 전체 철도근로자의 10%에 불과, 노조원들이 전원 파업에 들어가면 25일 새벽부터 큰 혼란이 예상되고 있다.
철도청은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면 83% 가량의 열차가 결행할 것으로 파악하고, 오전 6시 전후, 오후 6시 전후의 통근열차만 운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가스공사 노조원 2천여명(대구 100여명)도 25일 파업 돌입을 밝히고 있어 전국적으로 도시가스 공급 차질이 예상되고 있다.
이와 함께 전국 사회보험노조 대구·경북지역 31개 지부 600여명의 노조원들도 민간의료보험 도입 철회 등을 요구하며 25일 아침부터 전면파업에 들어가기로 결정, 국민건강보험공단을 찾는 민원인의 불편이 따를 전망이다.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는 26일부터 금속노조 산하 대동공업·상신브레이크·한국게이츠 등 8개 사업장이 '근로조건 후퇴를 전제로 한 주5일제 도입 저지'를 내세워 파업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지방노동청 관계자는 "공기업노조는 파업전 노동위원회의 '직권중재 사업장'이어서 25일 실제 단체행동에 들어가면 불법파업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경철기자 koala@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