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남의 땅-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 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내 손에 호미를 쥐어다오.
살진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을
발목이 시도록 밟아도 보고 좋은 땀조차 흘리고 싶다.
나는 온 몸에 풋내를 띠고
푸른 웃음 푸른 설음이 어우러진 사이로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명이 접혔나 보다.
그러나 지금은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봄이 오고있다. 대구 출신의 민족시인 이상화의 대표작이다. 상화 시는 흔히 탐미적인 시와 저항적인 시로 나눠진다. 그러나 둘의 비중이 같을 수는 없다. 상화는 민족해방시인이자 계급시인이다.
이 시에서 그 점을 느낄 수 있다. 사농공상(士農工商)의 잔재가 아직은 남아있던 시기, 호미로 흙을 매고 땀을 흘리고 싶다는 시인의 생각 역시 무산계급적이다.
최근 상화고택을 유적으로 지정하고자 하는 대구시민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이런 움직임도 결국 상화문학에 대한 제 몫 찾아주기인 것이다.
김용락〈시인〉
댓글 많은 뉴스
[단독] 4대강 재자연화 외친 李 정부…낙동강 보 개방·철거 '빗장' 연다
李대통령, 24일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재도약 길, 시민 목소리 듣는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나경원은 언니가 없는데…최혁진 "羅언니가 김충식에 내연녀 소개"
냉부해 논란 탓?…李 대통령 지지율 52.2%로 또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