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병값을 당당하게 받읍시다'.앞으로 빈병값을 지급하지 않는 도.소매점에는 3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돼 소비자들이 당당하게 병값을 요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그동안 '쓰레기' 취급을 받던 빈병이 '현금'으로 대접받을 전망이다.22일 환경부에 따르면 지금까지 국세청의 주세법과 보건복지부의 식품위생법에 따라 별도로 운영돼온 공병(빈병)보증금 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해 내년부터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로 통합, 운영키로 했다.
공병보증금제는 병의 재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제품의 소비자 가격에 병값(보증금)을 포함시켜 판매토록 한 뒤 소비자들이 빈병을 반환하면 도.소매점이 맥주와 청량음료는 50원, 소주는 40원을 각각 내주도록 의무화 한 것.
그러나 실제로는 소비자가 빈병을 가져가도 병값을 주지 않거나 수수료를 떼고 일부만 돌려주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이 환경부와 소비자단체의 설명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이준석 "강유정 대변인, 진실 지우려 기록 조작…해임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