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어민들의 연간소득 중 어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처음으로 50%미만으로 떨어져 어업외 소득 의존율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2001 어가경제 조사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연안지역 소재 어가의 연평균소득은 2천225만2천원으로 이중 어업소득은 전년보다 3.6% 하락한 49.8%로 조사됐다.
어민들의 연평균 소득은 2000년보다 17.9% 늘기는 했지만 도시근로자 가계와 농가에 비해 각각 70.6%, 93%선에 머무는 등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였다.
연간 소득중 어업소득의 증가율은 10%에 그쳤으나 일용직과 정규직 노동을 통해 올린 임금수입은 각각 35.3%, 26.8%, 어업피해 보상금과 가족보조금은 각각 41.2%, 45.2%씩 증가했다.
그러나 우리나라 어가의 어업의존도는 일본의 35.5%(2000년)에 비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계비 지출로는 의료보험부담 증가 등으로 보건의료비 지출이 전년보다 무려 29%나 늘어나 어민들의 가계압박 요인이 됐고 주거비(20.2%), 관혼상제비(19.2%)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한편 어가의 평균 부채규모는 농가 부채규모(2천38만원)보다 낮은 1천546만6천원으로 나타났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