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노동자의 상당수가 치료비가 없어 아파도 진료를 받지 못하거나 의료기관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는 등 의료 사각지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정재형 변호사가 대구와 인근 지역 외국인 노동자 468명을 대상으로 '이주노동자의 건강관련 특성과 의료이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아파도 병원에 가지 못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이 40.8%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의료기관 이용 때 불편한 점에 대해 외국인 노동자들은 '의사소통이 힘들다'(38%), '치료비가 비싸다'(32.8%), '진료시간을 내기 어렵다'(23.7%) 등의 반응을 보였다.
산업연수생의 경우 53.6%만이 건강보험에 가입돼 있다고 답했고 산재보험에 가입했다는 응답은 40.4%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입국 전·후 건강 인지도에 대해 '입국 전에 건강했다'는 응답이 91.5%로 나타났지만 '입국 후 건강하다'는 대답은 63.8%에 그쳤다.
또 세끼 식사를 하지 못한다는 사람이 24.9%나 되며 하루 평균 노동시간은 11시간, 월 평균 임금은 79만3천500원으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자의 질병 양상을 보면, 복부 이상이 18%로 가장 많았고 척추·등(12.1%), 피부(11.4%), 호흡기(10.3%), 비뇨기계 이상(7.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들의 흡연율은 30.9%, 음주율은 56.3%인 것으로 집계됐다.정 변호사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기초적인 보건의료 보장체계에서 소외되고 있어 이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의료의 확충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교영기자 kimky@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사설] 대구시 신청사 설계, 랜드마크 상징성 문제는 과제로 남아
박정훈 "최민희 딸 결혼식에 과방위 관련 기관·기업 '축의금' 액수 고민…통상 정치인은 화환·축의금 사양"
[단독] 카카오 거짓 논란... 이전 버전 복구 이미 됐다
장동혁 "어제 尹면회, 성경과 기도로 무장…우리도 뭉쳐 싸우자"
한동훈 "尹 돈 필요하면 뇌물받지 왜 마약사업?…백해룡 망상, 李대통령이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