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으로 트인 현관에서 하루를 향해 구두끈을 매노라면 푸성귀 같은 아침이 구두 끝에 와 머문다…'(박양균의 '계절'). '도시의 변두리 빈터에 들국이 피어 바람에 흔들거린다. 꿈 많은 시절의 보랏빛이 잔잔한 꽃물살이 되어…'(전상렬의 '들국화').
작고한 향토시인 박양균.전상렬 선생의 시비 제막식이 25일 오후 3시 대구 수성구 범어공원 문화산책로에서 문인과 시인 가족 등 9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화강암으로 제작된 시비의 서체는 예서체로 전상렬 시인의 차남인 서예가 전진원씨의 글씨이다.
대구에서 교편을 잡기도 했던 두 시인은 대구 문단의 원로로 실존에 대한 주제의식이 뛰어난 시세계(박양균)와 구수하고 토속적인 낭만시인으로 무위자연과 삶의 진실을 추구한 시(전상렬)를 남겼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