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건 국가정보원장이 지난 24일 국회 정보위에서 "북한이 지난 92년 5월 국제원자력기구(IAEA) 핵사찰 이전에 7~22kg의 플루토늄을 추출해 조잡한 형태의 핵무기 1~3개를 제조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고한 것으로 26일 확인됐다.
국정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신 건 원장이 '북한이 10-30kg의 농축우라늄을 확보해 조악한 수준의 핵폭탄 1~3개를 만들 수 있을 가능성이 50% 이상'이라고 보고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를 부인하며 이같이 밝혔다.
신 원장은 또 "농축우라늄을 사용한 핵무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연구→실험→생산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북한의 현재 농축우라늄 개발 수준에 대해선 한.미 정보기관간에 규명중"이라고 보고했다고 국정원은 덧붙였다.
북한의 플루토늄 핵무기와 관련, 미국은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이 최근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1990년대 초 이후 정보분석을 통해 북한이 1~2개의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평가해 왔다"고 밝히는 등 오랫동안 핵보유 가능성을 언급해왔으나 우리 정보기관 책임자가 북한의 핵무기 제조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것이어서 주목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