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3국은 9일 오전 도쿄(東京)에서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 회의를 열어 북한의 농축우라늄 핵개발 계획 폐기를 위한 단계별 대응책을 논의했다.3국은 이날 협의에서 북한의 '선(先) 폐기'를 요구하는 입장을 재확인하고, 특히 북한의 태도변화가 없을 경우에 대비한 대북중유 지원의 일시유보나 중단문제 등 제네바 기본합의 관련 문제들을 집중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은 3자 협의와 이에 앞선 한.미 양자협의에서 제네바 합의의 큰 틀을 유지할 필요성을 역설하고 이미 지난 6일 북한으로 출발한 4만2천500t의 11월분 중유는 예정대로 지원돼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특히 예산이 이미 확보된 올해분 대북중유 지원계획(내년 1월 북송분 포함)도 계속 진행할 것을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한 미국측 반응은 즉각 확인되지 않았으나, 일본을 방문중인 더글러스파이스 미 국방차관은 8일 기자회견에서 "약속을 위반하고 이 지역의 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능력을 추구하면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점을 북한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이에 따라 이날 3국 협의에선 대북 중유공급 중단 문제를 둘러싸고 상당한 진통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