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표되고 있는 외국계 투자기관·연구소의 내년 우리 경제 전망이 낙관과 비관으로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한쪽에서는 내년 우리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6.2%까지 가능하다고 낙관한 반면 다른쪽에서는 세계경제불안의 여파로 4.5%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달들어 외국 투자기관이나 연구소들의 내년 한국경제전망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성장률 전망치가 크게 엇갈렸다.
낙관적 전망에는 JP모건, 도이치은행 등이 포진했고 올 해 보다 성장률이 낮을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엔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를 중심으로 메릴린치, 리만 브라더스 등이 줄을 섰다.
JP모건과 도이치은행은 내년 중반이후 세계경제 회복에 발맞춰 한국 경제도 고성장을 지속할 것이라며 각각 6.2% 성장을 전망했다.
반면 골드만삭스는 세계경제 불안과 가계부채 급증 등을 들어 GDP성장 전망치를 기존의 7.0%에서 4.5%로 대폭 낮췄고 모건스탠리도 4.5% 성장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메릴린치는 5.0%, 리만 브라더스는 5.2% 성장을 각각 점쳤다.
지난달 UBS워버그 4.7%, 살로먼스미스바니와 경제연구기관인 DRI웨파가 각각 6.0%와 6.2%로 예측한 것을 감안하면 10월 이후 나온 9건의 외국기관 전망중 6%대 이상이 4건, 5% 안팎은 5건으로 비관적 전망이 우세했다.
한편 지난달 이후 나온 국내 경제연구소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한국개발연구원(KDI)과 삼성경제연구소가 5.3%, 금융연구원이 5.5%였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