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문단의 으뜸상으로 꼽히는 중앙시조대상을 대구의 중견 시조시인들이 내리 3년째 연속 수상해 대구·경북이 시조문학의 본향임을 다시한번 입증했다.
이 상은 2000년 박기섭 시인이 '구절초 시편'으로 수상한데 이어 지난해에는 민병도 시인이 '가을삽화'로, 올해(제21회)는 이정환 시인이 수상하게 돼 대구 시조문단의 겹경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더구나 세 시인은 1980년대 중반부터 10년간 오류동인으로 활동한 인연도 특이하다. 이정환 시인의 수상작은 지난 8월 펴낸 시조집 '가구가 운다, 나무가 운다'에 수록된 '원에 관하여 5'란 시조.
이 작품은 아직도 활용되고 있는 농경시대의 농기구들을 소재로 삶의 깊이를 천착해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한 작품으로 정신의 깊은데까지 파고들면서 삶의 참된 자세를 압축된 영상미로 완숙하게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시인은 "몇 줄의 시와 맞닥뜨리기 위해 일생을 바쳐 수고의 땀을 흘려야 함을 역설한 릴케의 말을 늘 버들채찍으로 삼아왔다"며 "시조를 위해 달려온 먼 길에 시방 주름이 잡혔다 환히 펴지는게 보인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세 시인은 "시조시단의 노벨상으로 불리며 문단에 공로가 많은 원로들에게 주던 큰 상을 받아 기쁨보다 책임감이 앞선다"며 "정형의 창의적 공간안에 내용과 형식을 새롭게 아우르는 일과 부단한 실험정신 추구에 혼신을 다할 것"이라 다짐했다.
조향래기자 swordj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