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노, 한나라 서대표 만나 초당협력 제의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정국에 화해무드가 조성되고 있다.

지난 18일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여야 총무와의 회동 이후 여야 관계의 질적인 변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노 당선자가 모든 정국현안을 국회로 수렴, 야당과의 대화와 타협을 통해 해결할 것임을 천명했기 때문이다.

이번주중 예상되는 노 당선자와 한나라당 서청원 대표의 회동을 계기로 초당적 정국운영 기조가 좀 더 가시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노 당선자는 여야 총무를 만난 자리에서 "과거엔 대통령이 정당을 통해 국회를 지배하려 했으나 이젠 당정분리가 됐고 정당과 국회도 자율성이 강화돼야 한다"며 "주요 국정은 국회를 중심으로 운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초당적 협력을 강조하며 "국가적 운명이 걸린 대외문제나 통일안보 정책 등에 대해 입법부와 사전조율을 하면서 초당적 협력을 구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와 관련, 노 당선자는 야당 등을 향해 "정계개편은 하지 않겠다"고 말해 그 배경에 이목이 쏠렸다.

'야당과의 대화 물꼬를 트기 위해 우선 소수정권의 한계를 극복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정계개편 문제를 당장에는 비켜갈 수밖에 없다'는 현실론을 인정한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총리 인준청문회나 검찰총장 등 '빅4 청문회'를 비롯해 새 정부의 조각절차, 취임 후 각종 개혁추진을 위해서는 원내 절대과반인 151석을 가진 한나라당의 협조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국이 조건없이 해빙될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

당장은 22일 국회 본회의에서의 인수위법 처리 전망이 여전히 불투명하다.

3대 의혹사건(4천억원 대북지원설, 국정원 도청의혹, 공적자금 비리)에 대한 특검제.국정조사 도입과 인수위법 처리 등을 연계시킬지를 놓고 한나라당 내에서 이견이 노출되고 있다.

이 총무는 "무조건 연계하는 것은 무리"라고 했으나 한나라당 박종희 대변인은 "3대 의혹사건에 대한 특검.국조 수용이 전제돼야 한다"고 밝혀 연계 뜻을 고수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다만 한나라당은 현 정부의 의혹을 새 정부로 끌어들이고 법안 처리까지 막을 경우 예상되는 여론의 역풍이 부담이다.

핵심 당직자는 "노 당선자가 민주당 구주류의 반발을 무릅쓰고 3대 의혹 사건의 특검.국조를 수용할 것"이라는 기대섞인 전망도 하고 있다.

따라서 노 당선자가 한나라당내 강경론을 잠재우기 위해 어떤 카드를 내놓을지가 관건이다.

당연히 현 정부나 당내 반발을 무릅쓰고 3대 의혹 해결에 정공법을 택할지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여야 관계의 질적 변화를 예고한 마당에 한나라당 요구를 무조건 '묵살'할 수도 없는 형편이다.

결국 새정권 출범 전후의 여야관계와 정국의 기상도는 3대 의혹 사건을 포함한 대형 의혹사건의 처리 방향에 따라 맑고 흐림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