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원자력기구(IAEA)가 12일 특별이사회에서 북핵 문제를 안보리에 회부키로 결정한것은 예정된 수순에 따른 것이다.
국제사회의 중재노력과 우리 대북특사 파견의 성과를 지켜보기 위해 순연하고 있었을 뿐이다.
지난 해 12월 북한이 핵 시설 재가동을 선언한 지 두 달만의 일이다.
이번 안보리 회부는 단순한 요식행위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북한의 핵 문제가 한반도나 동북아가 아닌 세계의 안보질서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공인.공식화 된 것이다.
북.미 양자간 문제로 몰고 가려던 북한은 이번 결정으로 더욱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됐다.
미국 뿐 아니라 지구촌 전체로부터 직.간접적인 핵 포기 압력을 받게될 것이기 때문이다.
안보리가 즉각적인 제재안을 내놓지는 않겠지만 거듭되는 결의와 성명을 통해 북한을 상당히 압박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 북한 핵에 대한 세계 공론이 확인됨으로써 개별 국가의 외교.경제 등 비군사 부문 제재들이 정당성을 강화하게 될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우리의 대북관과 대북정책이다.
세계가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하는 북한 핵 문제를 위기사태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불감증이 도를 넘었다.
북핵의 당사국으로서 핵 개발과 보유를 억제해 보겠다는 어떤 적극적 의지나 노력이 체감되지 않고 있다.
교류협력에 대한 편집증적 집착이 오히려 핵 문제를 방관하는 듯한 인상이다.
일의 앞뒤가 완전히 뒤바뀐 것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의 대북 교류협력은 긍극적으로 남북의 자유민주적 동질체제를 목표로 한다.
그러나 북한이 핵이라는 옥쇄 수단을 가지고 있는 한 그런 평화적 통일과정을 밟는 것이 지극히 어려워진다.
핵이 해결되지 않고서는 교류협력이 무용할 수 있다는 추론인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정부는 일을 거꾸로 하고 있는 셈이다.
그것은 세계사회의 질서의식에도 반하는 행동이다.
불량국가인 북한과 동일선상의 시각을 유지한다는 것은 우리가 곧 세계로부터 고립됨을 의미할 수도 있다.
정부의 애매모호한 행동이 그런 신호로 읽혀져서는 곤란하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