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회는 14일 이틀째 시정질문에서 중앙부처 공무원 파견과 시 공무원의 의식전환문제, 신설된 자원봉사 전담부서의 역할, 건설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방안 등을 집중 제기했다.
▲정영애 의원(비례)=대구지역 등록 자원봉사자는 총27만2천여명으로 시민의 10.8%가 활동중이다.
그러나 자원봉사에 대한 대구시의 개입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
시는 시민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해 민 주도, 관 지원이라는 대전제 하에 민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또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조례제정을 서둘러야 한다.
자원봉사 활동중 발생하는 각종 사고나 위험에 대한 대책으로 자원봉사보험의 사회보험화도 적극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자원봉사 관리체계를 일원화.통합화할 필요가 있다.
▲김화자 의원(중구)=정부는 친환경적 건설공사를 위해 공공기관이 재생골재를 의무사용토록 하고 있다.
시 발주 공공부문 공사에 재생골재 사용을 의무화해야 한다.
재생골재와 천연골재를 혼합 사용할 경우 폐건축물 방치로 인한 환경오염 방지는 물론 지역경제에 보탬이 될 것이다.
U대회를 앞두고 새 보도블록으로 교체되고 있는 화강판석은 환경친화적 제품이 아니다.
시는 환경친화적이고 유익한 제품으로 대체해 보도블록을 교체해야 할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친환경적 점토블럭으로 교체해 나가는게 바람직하다.
▲김형준 의원(비례)=중앙부처 공무원 파견 제도는 중앙과 지역의 유대강화 및 중앙정부의 원활한 예산지원을 위해 필수적이다.
타시도는 예산 확보를 위해 모든 인맥을 동원하고 있다.
그러나 대구시 공무원들은 과거 영남정권 때처럼 전화 한 통화로 해결하려는 소극적 사고를 갖고 있다.
의식전환이 필요하다.
대구시가 추진중인 테크노폴리스 건설, 한방바이오 밸리 조성 등의 계획은 시민협력과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
1인당 지역 총생산액이 꼴찌인 대구에 숙박 및 음식점업소는 3만2천여개소로 6대 광역시 중 부산 다음으로 많다.
새로운 환락가로 전락하고 있는 성서 3차공단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