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어떻게 하면 우리 아이가 공부를 잘할 수 있을까요?"
"장난만 치는 우리 아이 좀 더 차분하게 할 수 없을까요?"
새 학기가 시작되는 3월이면 학부모님으로부터 어김없이 받는 질문이다.
그럴 때마다 "그야 물론 독서이지요. 책 읽는 즐거움을 느끼도록 해야지요"라는 대답에 웃으며 고개를 끄덕이시는 학부모가 있는 반면, 어떤 분들은 "우리 애는 책에 흥미가 없어서…" 또는 "우리 애는 책을 많이 읽는데도…"하고 말끝을 흐리곤 하신다.
그 말을 들을 때마다 체계적인 독서교육의 필요성을 절실히 깨닫곤 한다.
어쩌면 지금까지 학교와 가정에서는 책에 관심을 갖도록 하거나, 독서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안내나 지도는 소홀히 한 채, "책을 읽으라"거나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 등 책 읽기를 강요하거나, 부담만을 주므로 오히려 학생들이 책읽기를 꺼려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그렇다.
홍수같이 쏟아지는 감각적인 흥미거리들이 아이들을 유혹하는 요즈음, 독서의 중요성과 결과만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어려서부터 책 읽는데 즐거움을 스스로 느낄 수 있도록 아이들의 수준에 맞는 체계적이고 친절한 지도와 독서 유인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하겠다.
이미 학교에서는 학교교육과정 속에 학년별 필독도서와 권장도서를 선정하여 책을 읽히고, 다양한 독서행사를 통하여 책 읽기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수업 시간에 관련 도서 자료와 다양한 정보 매체를 활용하여 학생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기를 뿐만 아니라, 재미있는 독서 후 활동을 통해 책 읽기를 생활화하는데 힘을 기울이고 있다.
지금까지 막연하게 '책을 읽으라고만 했던 책 읽히기'가 아니라 독서 방법, 도서 선택 및 도서관 이용 방법, 정보활용 방법 등 독서활동의 기초를 체계적으로 지도하고, 또한 실제 생활에서 다양한 독서 체험 활동을 안내하여 올바른 독서습관을 형성하는데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하겠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고 하듯이 가정에서도 책읽기를 강요하지만 말고, 매월 가족 독서 주제를 설정하여 자녀와 더불어 독서 체험활동을 해 보면 어떨까? 자녀들이 독서를 생활화 할 수 있도록 주말에 서점을 찾아서 읽을 책을 선정하는 직접적인 체험 기회를 부여하면 어떨까?
독서 지도 자료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다.
인터넷에 '독서'라는 낱말로 검색만 하여도 자료가 넘친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