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패방지위원회가 처음 실시한 지난해의 전국 71개의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등에 대한 청렴도 조사에서 대구시와 경북교육청이 하위그룹에 속한건 경위가 어찌됐든 수치스러운 일로 유감이 아닐 수 없다.
물론 이번조사가 형평성 객관성 등에 문제가 없는건 아니지만 16개 시.도와 교육청 민원인들을 상대로 똑같은 조건에서 조사한 결과로 나타난 만큼 일단 승복하고 대구시장이나 경북교육감은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느냐"에 대한 자체점검 시스템을 통해 그 원인을 진단해 획기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특히 대구시는 지하철참사 수습후유증을 심하게 앓고 있는 가운데 설상가상(雪上加霜)으로 부패지수까지 높게 나타나 사기가 더욱 저하될 수밖에 없겠지만 이번을 계기로 시정(市政)의 획기적인 개혁방안을 마련, 도약의 디딤돌로 삼아야 할 것이다.
특히 건축분야와 소방관리, 지자체발주공사 등의 항목에서 평균이하의 수치가 나타난건 이런 요인들이 겹쳐 결과적으로 이번 '지하철참사'가 일어난 직.간접원인으로 볼 수도 있다.
특단의 대책을 세워, 부패척결을 하지 않으면 기관의 오명(汚名)도 씻을 수 없고 또다른 사고의 원인이 된다는 점을 깊이 새겨야 할 것이다.
또 경북교육청도 각종 계약업무나 인사 등에서 평균이하의 점수가 나왔다는건 투명성이 결여된 계약이 많다는 것이고 교원인사에 대한 그동안의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경북교육감이 교원인사의 공정성을 담보할 쇄신책을 강구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번 부패방지위원회가 야심작으로 기관 청렴도조사를 한건 일단 긍정적이긴 하나 순위를 상.중.하로 묶은 것이나 상세한 내용을 공개하지않은 것은 과연 부패척결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럽다.
더욱이 "순위 결과를 곧이곧대로 공개하면 기관장들이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대목은 왜 이런 조사를 했는지 그 이유를 납득할 수 없는, 앞뒤가 안맞는 소리다.
'할려면 똑바로 하라'는게 국민여론임을 명심하라.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