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쌍한 딸을 위해서도 내가 오래 살아야지 내가 세상을 뜨면 혼자서 어떻게 살겠어?".
칠순을 바라보는 전신마비 장애의 딸을 50년간 돌보면서 가난과 나이조차 잊고 살아온 백수(百壽)를 넘긴 어느 노모는 아직도 자신이 더 살아야 되는 이유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백수의 어머니에 칠순의 딸'이라고 그 자체도 드문 일이지만 이렇게 기막힌 사연까지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한결같은 반응이 "세상에 이런일이…"로 집약되고 있다.
4살때의 추락상(墜落傷)으로 평생을 자리에 누워지내는 그 딸에게 그 어머니는 수발도 힘겨운터에 글까지 가르쳐 시를 읊조릴 정도로 유식(有識)한 어른으로 만들어 놓은 그 모정(母情)을 주위에선 '위대하고 지고(至高)하다'는 말로 대변했다.
▲어머니의 글공부덕에 그 딸은 절박한 그들 모녀의 희망으로 '얄미운 행복/어느곳에 숨었는지/저 산 너머 숨었을까/저 바다건너 숨었을까/저마다 너를 찾아 헤매어도/얄미운 행복은 이리저리 피해다니고…' '얄미운 행복'이란 제목의 시로 그 모정에 화답했다고 한다.
그렇게 성장한 딸이 대견한 듯 그 노모는 "딸은 나한테 몸을 기대고 나는 점차 흩어지고 있는 정신을 딸에게 맡기고 사는 셈이죠"로 압축했다.
이들 모녀의 얘기는 그야말로 '한편의 드라마'처럼 이 각박한 세상에 던지는 메시지는 꼭 꼬집어 뭐라고 형언할 순 없지만 충분히 우리들 가슴에 와닿는 많은걸 던져주고 있다.
▲5백억대 부동산을 가진 유명 변호사출신의 8순 아버지와 명문법대를 나와 미국유학에서 법학석사까지 딴 50대 아들간의 송사(訟事) 화제는 이 가난한 모정을 무색하게 하고 있다.
왕년에 잘 나가던 시절에 사둔 땅으로 거부가 된 이 노변호사는 한달에 천만원이 넘는 약값을 감당못해 아들명의로 신탁해둔 땅을 처분하려 했으나 아들이 이에 불응하자 결국 소송을 냈고 아들도 이에 질세라 맞소송을 내면서 결국 부자지간이 '피고와 원고'라는 견원지간으로 돌변했다는 얘기다.
▲"내가 따로 상속해준 빌딩수입만도 한달에 수천만원이 되는데다 매년 1억원이 넘는 세금까지 내가 내줬는데 병원비 한푼 안준다"는게 아버지가 그 아들에 대한 원망. 이에 그 아들은 "그 땅은 내게 아버지가 증여한 것인만큼 소유권은 내게 있다"고 항변하고 있다.
변호사가 되고 자식에게 법학공부를 시킨게 오히려 큰 화근이 된 이 쟁송에선 그 어디에도 부정(父情)이나, 효(孝)는 찾아볼 수도 없고 오직 차가운 법리(法理)와 전의(戰意)만 번뜩인다.
장애의 딸이 노모에게 읊조린'얄미운 행복'이라는 싯귀를 이부자(父子)에게 들려주면 아마 그건 우이독경(牛耳讀經)이 될 것 같다.
박창근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