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섬유산업 장기발전 전략인 포스트밀라노 프로젝트에 비상이 걸렸다.
대구시가 지난달 19일 정부에 제출한 포스트밀라노 예산기획안(6천99억원, 4개 분야 34개 사업)이 하드웨어 구축과 직물, 염색 산업에 편중돼 사업 재조정이 불가피해진데다 정부 또한 예산 축소 방침으로 일관, 예산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
시는 뒤늦게 소프트웨어 및 패션분야 활성화라는 기본틀에서 포스트밀라노의 밑그림을 다시 짜고 있지만 지역 섬유업계 및 학계는 이 기회에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포스트밀라노의 새그림과 시가 제출한 예산기획안의 구조적 문제점, 이에 대한 대책을 2회에 걸쳐 살펴본다.
4월말부터 포스트밀라노 예산기획안 검토에 들어간 산자부는 기획안의 구조적 문제점을 크게 두가지로 지적했다.
밀라노프로젝트가 하드웨어 구축에만 매달리는 바람에 업계에 실질적 도움을 주지 못한데도 여전히 하드웨어 사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직물 염색쪽으로 예산이 치우쳐 상대적으로 육성이 시급한 패션분야가 매우 취약해졌다는 것.
염색기술연구소(1천30억원), 한국섬유개발연구원(917억원)은 예산이 천정부지로 치솟은 반면 밀라노프로젝트에서 소외돼 육성이 시급한 봉제기술센터(257억원), 한국패션센터(95억원)등은 전체 예산 조정 과정에서 오히려 축소됐다는 것이다.
이같은 산자부의 판단에 부분적으로 동의한 대구시는 4개분야 34개에 이르는 전체 사업중 각종 연구개발 및 하드웨어 구축사업을 대거 삭제하고 업계 밀착형 소프트웨어 사업을 집중 육성키로 하는 등 포스트밀라노 사업의 전면 재조정을 본격화하고 있다.
섬유개발연구원의 경우 기존 6개 사업 중 섬유소재의 친환경 응용기술개발, 스마트 섬유개발 기반구축 등 R&D 관련 2개 사업을 포스트밀라노에서 제외했다.
연구원은 중복성 논란을 빚었던 섬유정보센터 버전업 사업을 염색, 패션과 통합해 일괄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고, 나머지 3개 사업은 정부 목적사업으로 추진, 밀라노프로젝트를 통해 구축한 신제품개발센터와 지역 섬유업계간의 유기적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업계 밀착형 사업들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염색기술연구소도 5개 사업 중 하드웨어적 성격이 강한 다이텍 통합 네트워크 기반 구축 사업과 DTP 기술 상용화 기반 구축사업을 없애고 첨단 염색가공 기술개발, 신제품 실용화 기술 지원, 염색환경기술지원센터 기반구축 등 3개 사업으로 규모를 줄였다.
그러나 산업자원부가 포스트밀라노 계획안의 모든 하드웨어 구축 사업에 일관된 축소 방침을 적용하려는 것과 달리 대구시는 봉제기술지원센터, 섬유기계연구소에서 추진하는 일부 기반 구축사업 경우 예산 지원이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산자부는 대구·경북 견직물조합이 추진하고 있는 해외 마케팅사업(281억원) 또한 현 WTO(세계무역기구) 체제에서는 기업이나 조합에 대한 직접적 지원은 불가능하다며 사업 지원에 회의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지역 섬유업계는 해외마케팅 사업은 포스트밀라노 34개 사업 중 업계에 가장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업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시는 패션분야가 취약하다는 산자부 지적에는 전적으로 동의해 한국패션센터 주관의 브랜드 프로모션 사업을 신규로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브랜드 프로모션 사업 예산이 매년 5억씩 연간 25억 수준에 그칠 것으로 알려져 추가 예산 지원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IFN, 삼성패션연구소 등 서울 대기업들은 브랜드 개발을 위한 세계시장 정보 및 트렌드 분석에만 연간 15억~20억원 수준의 비용을 들이고 있다.
이상준기자 all4you@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