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선거구 획정위가 본격 활동에 들어감에 따라 내년 총선에서 대구 중구가 어떤 형태로든 독립선거구로 살아남을 수 있을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대구 중구의 인구는 현재 8만7천70명으로 현행 규정으로도 내년 총선때 독립 선거구로의 존립자체가 불가능해진다. 선거구 문제는 어차피 여야가 선거 막판에 최종 결론을 내겠지만 내년 17대 총선은 헌법재판소가 '표의 등가성'을 내세워 제시한 3대1의 인구 상하한선 비율을 맞춰야 한다. 그럴 경우 지난 16대 적용한 최소 9만대 최대 35만의 선거구 인구비율은 하한선이 10만이상, 상한선은 30만 이상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렇게 결론날 경우 대구 중구는 내년 총선에 인근 남구와 합쳐질 공산이 현재로서는 가장 크다.
그렇지만 중구 지역구가 독자생존할 길이 영 없는 것은 아니다. 먼저 대구시의 행정구역개편이다. 당초 안대로 북구의 고성동과 칠성동이 중구로 편입될 경우 3만여명 이상의 인구가 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하철 참사 등으로 추진 시기를 놓쳐 버린데다 중구 선거구 살리기 차원에서 무리하게 추진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 상태여서 성사가 불투명한 것이 문제다.
또 다른 경우는 대구와 인구수가 비슷한 인천과의 형평성 문제가 본격 제기될 경우 중구 회생 가능성이 있다. 인구비율이 10만대 30만이 될 경우에는 대구는 중구가 줄고 달서구가 늘어 인천과 국회의원 수가 11명으로 같지만 11만대 33만이상이 될 경우 대구는 중구만 줄어들어 인천보다 1석이 모자라게 된다. 이경우 여야 협상에서 대구와 인천의 형평성 문제를 적극 제기할 수 있다.
중구가 지역구인 한나라당 백승홍 의원도 현재 중구를 서구와 합쳐 갑.을로 나누는 복합 선거구 형태를 만들겠다는 구상에 무게를 두고 있다. 실제로 16대 총선 직전 확정된 선거구에서는 행정구역대로 하면 1개 선거구만 가능한 부산 해운대구와 기장군을 합해 갑.을로 나누고, 인천 서구와 강화군을 합해 갑.을 로 나눠 2개의 선거구를 만든 사례도 있다. 국회 정치개혁특위에서도 일부 의원들은 "행정구역에 너무 집착할 필요없이 유연성 있게 선거구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그러나 선거구조정 문제는 여야는 물론 현역 국회의원과 국회의원 지망생 등 정치인들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맞물려 있어 조정과정에서 상당한 진통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백 의원측은 "내 지역구 살리기에 매달릴 생각은 없다"면서도 "국회의원 한 명이면 최소한 2, 3천억원의 국비는 가져올 수 있는데 지역을 위해서도 국회의원 수를 줄일 필요가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