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자동차 특소세 인하...판매시장 대혼란

정부의 승용차 특별소비세 인하 방침에 따라 지역 자동차 판매 시장이 대혼란 상황에 빠져들고 있다.

이미 자동차를 구입한 고객들이 특소세 인하때까지 출고를 연기할것을 요청거나 계약 해지 움직임을 보이면서 지역 자동차 판매가 완전 마비상태에 빠진 것.

현대, 기아, GM대우 등 지역 자동차 영업소에 따르면 정부의 특소세 인하 방침이 발표된 4일부터 각 판매점엔 출고 및 신규 계약은 전면 중단된 반면 계약 해지 요청이 잇따르고 있다.

특소세 인하를 받기 위해 자동차 구입 고객들이 계약을 자꾸 미루는데다 이미 차를 계약한 고객을 중심으로 계약 해지 가능 여부를 묻는 문의전화만 잇따르고 있다는 것. 그러나 지역 자동차 영업소들은 정확히 언제부터 인하된 특소세를 적용받는지, 차값은 얼마나 내리는지, 이미 구입한 차량의 특소세 인하 소급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등을 전혀 몰라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

이는 정부가 7, 8일쯤 국회 재정경제위원회에 특소세 개편안을 상정하겠다고 밝혔지만 아직 정확한 인하시기와 인하폭, 소급 여부 등이 확정되지 않은데 따른 것이다. 현대차 대구본부 관계자는 "4일 하루만 수십건에 이르는 출고 및 신규 계약이 전면 취소됐고, 특소세 인하와 관련한 고객들의 문의 전화가 잇따르고 있지만 꿀먹은 벙어리마냥 입을 다물 수 밖에 없다"며 "정부의 명확한 입장 표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5일 아침 긴급 대책회의에 돌입했지만 뚜렸한 대책을 마련할 수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고 각 영업소들은 특소세 인하시기와 폭, 소급 기간 등이 빨리 정해져야 고객들의 혼란이 최소화할 수 있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각 영업소들은 또 이미 자동차를 구입한 고객 경우 정부에 대한 불만 전화가 폭주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 자동차 구입 고객은 "바로 얼마 전에도 김진표 경제부총리는 특소세 인하계획이 없다고 했다"며 "정부말만 믿고 차를 구입했는데 결국 손해를 보게 됐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한국자동차공업협회는 4일 특소세 개편안의 국회 조속 통과와 함께 기존계약고객의 불이익을 막기 위해 소급혜택을 줘야한다고 정부에 건의했다. 7만~8만대에 달하는 기존 계약고객의 해약사태가 발생하면 자동차업체들의 영업이 마비되고 이로 인한 혼란과 업무차질도 클 것으로 보여 이들에 대한 소급혜택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

정부관계자는 "소급혜택 적용시기를 놓고 고민 중"이라며 "고객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을 곧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상준기자 all4you@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