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평창동계올림픽유치지원특위(위원장 김학원.)는 29일 전체회의를 열어 국제올림픽
위원회(IOC) 부위원장인 김운용의원의 공직사퇴권고를 결의했다. 국회의원 개인에 대한
공직사퇴권고 결의안은 구속력은 없으나 우리나라 헌정사에서 한번도 채택된 전례가 없다.
특위는 또 김 의원이 특위 만료시한인 오는 31일 자정까지 국회의원 등 국내 공직을 사
퇴하지 않을 경우 김학원 위원장이 박관용 국회의장과 협의, 국회윤리위에 제소키로 했다.
특위는 한나라당과 민주당 의원들간 찬반 논란속에 공직사퇴권고결의안을 표결
에 부쳐 참석 13명 가운데 찬성 8명, 반대 2명, 기권 3명으로 가결했다.
한나라당 의원 9명중 8명이 찬성한 반면, 민주당 함승희(咸承熙) 김경천(金敬天)
의원이 반대했고, 김학원 위원장과 한나라당 김용균(金容鈞) 민주당 이용삼(李龍三)
의원은 기권했으며 김운용 의원은 표결에 앞서 자리를 떴다.
특위는 결의에서 "김운용 의원이 IOC 위원과 국회의원으로서 동계올림픽 유치에
최선을 다해야 함에도 유치와 사실상 양립할 수 없는 본인의 IOC 부위원장 출마를
위해 유치를 방해했다"며 "김 의원은 국회의원직 등 국내 주요 공직에서 사퇴할 것
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결의안을 동의한 김용학 의원 등은 ▲최만립 유치위 부위원장이 전한 '투표 방해'
발언 ▲IOC 부위원장 출마 자제 요청 거부 등을 '김운용 방해설'의 근거로 들고 특히
독일의 스포츠지 '스포르트 인테른'지 100부를 유치위가 구독하게 한 것에 대해서도
헌법 제46조 3항 '국회의원의 이권운동 금지' 규정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김운용 의원은 회의 직후 기자회견을 갖고 "사퇴하지 않겠다"며 자신의 방
해설을 최초 제기한 김용학 의원과 공로명 위원장, 최만립 부위원장, 최승호 사무총장
등 유치위 간부 3명을 이날 오후 3시 명예훼손 등 혐의로 서울지검에 고소했다고 밝혔
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부위원장인 김운용 의원은 29일 평창특위 전체회의에서 공
직사퇴권고결의안이 표결에 의해 채택되자 기자회견을 자청, "권고안은 권고안일 뿐"
이라며 "사퇴하지 않겠다"고밝혔다.
또 "진상조사를 하려면 몇백억원씩 쓰고 수십명이 돌아다닌 유치위 등도 조사해야하
며, 이번 유치전에서 평창이 받은 표에 대한 분석을 포함한 IOC 내부의 비공개 부분도
밝혀내야 하는데 사실상 불가능하고 이번에도 안됐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에게 물의를 일으켜서 죄송하다"며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최선을
다했으나 유치에는 실패했다. 그 점에 대해서 사과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