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위기 예천공항 살리기 경북도가 나서라

지방공항을 살리기 위한 경북도와 강원도의 대응자세가 판이하다.

예천공항은 아시아나 항공의 적자로 폐항위기에 몰리면서 예천~제주 노선이 휴.운항을 거듭하고 있으나 원주공항은 강원도와 원주시, 횡성군 등 3개 지자체간 협약을 통해 원주~제주노선 운항이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2일 건교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방공항 운항손실에 대한 국고지원이 불가능하자 강원도와 원주시, 횡성군이 자구책을 마련, 항공사에 대한 재정지원을 골자로 한 조례를 제정해 운항중단 사태를 막았다.

재정지원 방안은 109석 항공기(F100)를 기준으로 하루 탑승률이 70%에 미달할 경우, 수입감소액의 70%를 지자체가 지원키로 하고 강원도가 70%, 원주시가 25%, 횡성군이 5%를 부담키로 한 것. 결국 원주~제주 노선은 지난해 10월29일부터 하루 1차례씩 운항이 이뤄지고 있으며 여기다 '영서(嶺西)지역 유일공항'이라는 강원도의 특화전략이 먹혀들면서 탑승률이 70%를 상회, 2일 현재까지 한차례도 항공사에 재정지원을 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예천공항은 예천군을 비롯, 안동.영주.문경시 등 4개 지자체가 항공기 운항 결손보조금 지원을 위한 합의가 이뤄졌음에도 경북도의회가 제동을 거는 바람에 운항중단 사태에 내몰리는 형편이 됐다.

도의회가 자신들의 손으로 항공사의 결손금 지원근거가 되는 재정지원 조례를 통과시키고도 정작 예산안을 승인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미 여러차례 국고지원이 곤란하다는 건교부의 입장을 전달받았지만 고집을 꺾지 않은 것. 경북도도 마찬가지다.

도의회가 제동을 걸자 지난달 11일 건교부에 결손금 국비지원을 재차 요청, 예상대로 냉담한 입장만 전달받았다.

국회 건교위 지역 의원들은 "예천~제주 노선 활성화를 위해 여행사 판매가격을 40% 이상 할인하는 등 항공수요 확보를 위한 노력이 물거품이 될 처지가 됐다"며 "예천공항을 살리기 위해 경북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