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습지는 어떤 모습으로 복원될까? 낙동강과 금호강 합류지점에 자리잡은 달성습지의 생태복원사업 대상 면적은 60만㎡. 이곳에 각종 형태의 자연형 습지와 자연학습장, 범람섬 등이 들어설 계획이다.
조성될 습지 형태는 수로형 및 개방형, 폐쇄형 고위습지 등 3가지로 가닥이 잡혔다.
이중 주목을 끄는 것은 수로형 습지. 당초 습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펌핑시설나 인공수로를 이용, 금호강물을 끌어올 계획이었으나 인공적인 시설 대신 자연스런 수로형 습지를 만들기로 한 것. 수로형 습지는 금호강 강창교 부근에서부터 자연스럽게 금호강물이 달성습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습지를 따라 길게 조성된다.
수로형 습지 규모는 길이 1㎞, 폭 20~120m. 또 이곳에 키버들, 물억새, 부들, 연꽃 등 16종의 식물로 이뤄진 정수식물대를 조성, 유입된 금호강물을 자연 정화할 계획이다.
주변부보다 50cm 정도 낮게 만들어지는 폐쇄형 습지는 비가 왔을때 물을 담아두는 기능을 하게 된다.
개구리, 뱀 등 양서류와 파충류 등의 서식지로 조성될 계획이고 길이 170m, 폭 150m짜리 1곳, 100m, 80m 1곳 등 2곳이 조성될 계획이다.
또 개방형 습지는 한개의 출입구를 통해 하천수가 자연스레 드나들도록 만든 곳. 깊이를 하천보다 깊게 만들어 각종 어류의 서식지 등 연못 기능을 하게 된다.
갈수기엔 폐쇄형 습지와 비슷한 형태, 기능을 가진다.
규모는 길이 450m, 폭 300m로 폐쇄형 습지보다 크다.
달성습지엔 이러한 습지 외에 범람섬, 자연학습장, 탐조시설 등도 만들어진다.
범람섬은 개방형 습지 내에 만들어지는 독립된 섬으로 평소엔 물 바깥으로 드러나 있다가 비가 오면 잠긴다.
조류들의 휴식, 은신처의 기능을 하게 된다.
길이 60m, 폭 30m짜리 등 모두 4개가 만들어질 전망이다.
또 자연학습장은 습지 외곽을 돌면서 습지, 식물, 조류 등을 관찰할 수 있는 곳. 관찰데크, 해설판 등이 설치돼 직접 관찰하면서 설명도 보고 들을 수 있다.
조류관찰시설인 탐조대는 흑두루미 등 천연기념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만든 장소로 사람들의 무분별한 출입을 막기 위해 폐쇄공간으로 조성된다.
시는 달성습지가 복원되면 금호강 수질의 자연정화는 물론 재두루미, 흑두루미 등 조류와 어류, 각종 수중·수변 식물 등 다양한 생물종의 주요 안식처와 서식처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달성습지 생태복원사업은 국·시비 등 모두 75억원이 투입되고 2007년 말에 완공될 예정이다.
이호준기자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