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李지사 "낙후지역 개발이 균형발전 요체"

이의근 경북도지사는 4일 국회에서 열린 '국가균형발전과 산업집적 전략' 토론회에서 "낙후지역 개발문제가 지방 균형발전의 요체"라며 "재원 배분도 지역 여건에 따라 차등화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지사는 "정부가 자립형 지방화를 얘기하며 경쟁의 원리를 강조하는데 경북이나 전북, 강원 등 낙후지역은 제대로 된 경쟁을 할 수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현실적 격차를 방치한 채 '자립형 지방화' 전략을 추진하면 지역간 부익부 빈익빈 현상만 가중시킨다는 것이었다.

이 지사는 "지난 30여년간 지역개발이 경부선을 축으로 이뤄져 나머지 지역의 불균형을 야기시켰다"고 지적한 뒤 "국토 균형발전 차원에서 농어촌, 산촌 등 낙후지역에 대한 조사를 실시한 뒤 '몇년 후에 어느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내용을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조항내에 명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 지사의 지역간 '불균형 시정' 요구는 자연스레 자신의 '동해안 개발' 구상으로 이어졌다.

그는 "지금까지 지역개발 사업이 남해안과 서해안 중심으로 추진됐고 상대적으로 동해안은 낙후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따라서 "정부가 추진중인 '동북아 중심국가'는 강원과 경북을 잇고 일본과 러시아까지 연결하는 대동맥을 발전축으로 하는만큼 동해안 개발이 필요하다"면서 "낙후지역의 산업인프라와 경제규모를 끌어올리기 위해 정부가 주체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지사는 "경북의 열악한 지역개발 여건과 지역경제 체질을 개선, 수도권과 대응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을 때 자립형 지방화의 국가균형발전 정책을 펴 나가야 지역간 불균형이 시정되면서 수도권과 낙후지역이 상생, 발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