넉넉하고 풍요로워야 할 한가위가 올해는 서민들에게 더없이 우울한 명절로 다가오고 있다.
추석 상차림을 위해 시장에 나가 본 주부들은 '장보기가 겁난다'는 수준을 넘어 과일 상품(上品)에는 손 댈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발길을 돌려야한다.
최근 농림부와 한국물가협회, 농협유통 등에서 내놓은 추석 물가 전망치를 보면 올해 제수 비용은 지난해보다 8~20%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올해 수확한 배 하나가 1만원에 육박하고 사과 하나에 5천원, 단감도 한개에 1천원을 줘야 쓸만한 것을 고를 수 있는 현실에서 서민들이 겪는 체감 물가는 상상을 초월한다.
물론 가격이 하락한 품목도 많지만 '몇% 상승'이라는 당국의 발표와는 너무 거리가 멀다.
정부는 지난달 25일 추석 물가안정 대책을 수립, 사과와 배, 쇠고기, 돼지고기, 조기, 명태 등 제수용품의 공급물량을 평상시의 2배로 확대키로 했으나 워낙 공급물량이 달려 피부로 느끼기에는 역부족이다.
올 추석 물가 상승은 이틀이 멀다하고 내리는 비로 인해 농산물이 제대로 열매맺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래 보기드문 이러한 자연 재해를 탓할 수는 없다.
더욱 서민을 울리는 것은 이런 수급불안을 틈타 원산지 표시 위반, 불공정거래 행위, 매점매석, 부당 가격인상 등이 판을 치고있다는 점이다.
벌써부터 고급 호텔에까지 가짜 굴비.인삼이 대량 공급되고 있다.
아무리 어려워도 시장이 신용을 잃어서는 안된다.
당국은 시장질서를 어지럽히는 이런 불공정행위를 철저히 단속하여 신뢰회복에 나서야 한다.
특히 우리 경제의 비전이 극히 불투명한 상태에서 추석물가 상승은 서민들에게 엄청난 좌절감을 안겨 주고 있다.
오죽했으면 '이제 종살이 할 수밖에 없다'는 극한 사고가 서민층을 지배하겠는가. 게다가 분배 정의를 앞세운 참여정부가 오히려 빈부 격차를 부추기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으니 무엇으로 서민을 달랠 것인가. 정부는 추석 물가 속에 밴 서민들의 애환과 민심을 제대로 읽고 하반기 막바지 경제 회복에 희망을 심어주기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