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위 큰 잔치가 끝났습니다.
긴 연휴 기간 동안 우리는 너나없이 복잡한 도로 위의 움직이지 않는 자동차 속에 스스로 갇히면서 결사적으로 고향을 찾아 헤맸었지요. 세계에서 가장 큰 주차장으로 변했던 고속도로도 이제 가빴던 숨을 고르며 제 모습을 드러내고, 마음이 앞서 달려가던 고향길에서 또 보따리 보따리 고향을 싣고 돌아오던 길에서 광풍과 폭우로 발목을 잡던 폭풍 '매미'도 곳곳에 큰 생채기를 낸 채 물러갔습니다.
명절 때마다 연출되는 민족 대이동의 행렬, 그 의미 찾기의 한 켜로서 어느 인류학자가 말한 '행복한 풍경 찾기' 이야기를 떠올려 봅니다.
사람들은 누구나 자기 자신에게 가장 큰 행복감과 평화로움을 주었던 풍경을 마음 속 깊이 지니고 살아가면서 힘들고 어려울 때마다 그 풍경을 떠올리며 삶에의 새로운 힘과 용기를 얻는다는 것입니다.
이 행복한 풍경이 바로 우리의 의식, 그 원초적 공간에 각인된 고향산천이 아닐는지요?
'방죽 너머 땅버들가지/귀에 익은 냇물 소리/길섶 질경이, 강아지 풀이 앞다투어 매달립니다//-정말, 그렇게 잊고 지낼 수 있니?/우리가 보고 싶지도 않았니?/구불구불 논둑길 따라/달려오는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칠칠대는 아카시아숲/강똥거리며 따라오는 망초, 바랭이풀/협동정미소 뒤 대숲도 바람소리로 달려와//-그래, 정말 반갑다/그래 그새 어떻게 지냈니?//나를 에워싸며 반겨줍니다//어쩌다 한 번씩 들러도 잊지 않고/마을 뒷산도 풀냄새 그윽한 그늘을 펼쳐/나를 푸근히 안아줍니다'.
그러나 고향 산천의 행간이 어찌 반가움의 정서뿐이겠습니까? 고향집 뒤안의 적막을 지키고 서 있는 늙은 감나무, 유물처럼 늙으신 아버지들의 마른 나무 등걸 같은 손, 한숨 섞인 조합 빚 이야기, 장마에 떠내려간 고추밭 참깨밭 조각, 찢어져 펄럭이는 비닐하우스 지붕, 서른이 훨씬 넘도록 장가를 못간 동네 총각들이 술에 취해 부르는 유행가 소리, 무성한 풀과 우거진 나무들이 지워버린 성묘길의 그 쓸쓸한 풀벌레의 소리··. 이 안타깝고 서러운 이야기가 섞여있기 마련이지요. 그래서 고향 풍경은 늘 그윽하지요.
고향은 우리네 삶의 근원을 이루는 풍경이며, 한 편의 시입니다.
우유보다는 술의 손을 잡고 안타까움이나 슬픔까지도 삶의 새로운 힘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삶의 텃밭입니다.
아이들에게 이런 풍경을 한 편의 시로 체험하게 하는 일은 이 땅에 그들의 삶의 뿌리를 튼튼하게 내리게 하는 일입니다.
(아동문학가·문성초교 교장)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