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토기와 신라토기는 낙동강을 기준으로 동서로 나뉜 문화만큼이나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대체로 신라토기가 색깔이 검고 직선적이고 날렵한데 비해 가야토기는 밝고 우아하며 곡선의 부드러움을 나타냈다.
형태상으로는 그릇 받침에 난 창의 배열, 항아리 받침대의 유무, 뚜껑모양 등을 통해 비교할 수 있다.
목긴 항아리의 경우 신라는 가야와 달리 굽다리 받침대를 붙였다.
굽다리 접시의 경우 신라는 받침대의 창을 아래위로 엇갈리게 했으나 가야는 나란히 뚫었다.
또 신라는 굽다리 접시의 뚜껑 손잡이에도 창을 뚫었으나 가야는 창을 내지 않는 대신 단추 또는 젖꼭지 모양을 냈다.
가야토기도 대가야(고령)식, 금관가야(김해)식, 아라가야(함안)식, 소가야(고성)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굽다리 접시의 경우 대가야식은 접시 몸체가 낮고 굽다리가 나팔모양인데 비해 금관가야식은 입구가 밖으로 급격히 꺾이는 형태이며, 아라가야식은 굽다리가 장구모양이다.
굽다리에 뚫린 창의 형태도 대가야식과 소가야식은 주로 직사각형이지만 아라가야식은 불꽃 모양이다.
또 창의 배치는 대가야식이 대체로 아래위 2단 일렬이지만, 소가야식은 1단으로 길게 뚫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