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의 재신임 방침에 대해 경제인들은 대체로 내수침체로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서 경제정책의 불확실성이 깊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로 인한 외국인들의 투자 또한 줄어들 것으로 예상돼 경기침체 장기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김극년 대구은행장=외국인들의 한국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깊은 상황에서 불확실성이 더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환율 등 경제지표가 불안한 상황에서 경제정책마저 흔들릴 경우 외국인들이 투자를 꺼릴 것이 우려된다.
▲노희찬 대구상공회의소 회장=정치가 안정을 되찾아야 경제도 제자리를 잡을 수 있다.
대구U대회의 성공열기를 경제활동으로 연결해야 되는 시점에서 정치불안으로 인해 지역경기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경제단체들과 주요그룹 등은 정확한 진의를 파악하느라 분주하게 움직이는 한편 주식, 환율, 금리 등 경제변수들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을 보였다.
재계는 주식시장 등이 다행히 동요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자 일단 안도하면서도 재신임 논란이 불러올 정치.경제적 파장을 걱정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관계자는 사견임을 전제로 "대통령이 재신임을 묻겠다고 나서는 사태가 온 것 자체가 매우 안타까운 일이며 이 때문에 국론분열과 국정혼란이 초래되어서는 곤란하다고 본다"고 걱정했다.
대한상의의 한 관계자는 "재신임을 묻는 방법이 어떤 것이 되든 경제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라면서 "재신임 방법을 둘러싸고 정치적으로 소용돌이가 일고 소모적 논쟁이 이어지면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는 더욱 어렵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경총 관계자는 "재신임은 대통령에 대한 비판을 수용하려는 자세가 아닌 너무 극단적인 결정"이라며 "재신임에 따른 사회혼란이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삼성은 재신임 논란이 불러올 혼란을 우려, 국가를 위해 재심임 결단이 철회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SK비자금 사건의 당사자인 SK는 "사건 당사자가 무슨 할 말이 있을 수 있겠느냐"면서 공식적인 언급을 회피했다.
한편 LG 등 일부 기업은 "정치적인 문제에 대해선 코멘트할 것이 전혀 없다"며 극도로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