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군의 종합쓰레기매립장 설치사업이 5년째 지지부진한 가운데 올해도 지금까지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해 쓰레기 대란이 우려된다.
군위지역 3만2천여명의 주민이 배출하는 생활쓰레기는 하루 15t으로 소보.부계.우보면 등 3곳의 쓰레기 매립장에 버려지고 있다. 그러나 5천500㎥ 규모의 부계면 쓰레기매립장은 이미 포화상태로 더 이상 반입이 어렵다. 또 소보면 쓰레기매립장(1만5천여㎥ 규모)과 우보면 쓰레기매립장(2천100㎥ 규모)도 절반의 여유도 남지않아 군위군의 쓰레기 문제는 심각한 수준을 넘어선지 오래다.
지난 1998년 쓰레기매립장의 침출수 유출과 악취 등으로 환경오염을 가중시킨 군위.의흥.고로면 쓰레기매립장을 폐쇄했기 때문이다.
군은 3곳의 쓰레기 매립장이 폐쇄되자 지난 1998년 주민들을 대상으로 쓰레기매립장 후보지 공모에 나섰다.
이때 군위읍 내량1리 주민들은 "쓰레기장 부지를 제공해 지역개발사업은 물론 숙원사업도 해결할 수 있다"며 마을주민 56세대 가운데 51세대(90%)의 동의를 얻어 마을 뒷산 계곡에 쓰레기장을 유치했다.
군은 타당성검토를 거쳐 이곳의 5천여평 부지에 78억원을 들여 최첨단 침출수처리 시설을 갖추고 재활용품 보관창고도 짓는 등 종합쓰레기매립장 건립사업을 추진했다.
그러나 인근 내량2리와 외량리.삽령리 주민들은 '쓰레기장설치 반대추진위원회'(위원장 홍순청.62)를 결성, 항의농성을 벌이는 등 조직적인 반발로 군과 대치해 왔다.
내량2리 최인환(45)씨 등 주민들은 "왜 모든 혐오시설을 한곳으로 집중시켜 땅값을 하락시키느냐"며 "땅 주인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매립장 유치신청을 했지만 피해보는 이웃을 무시하면 되겠느냐"며 반발했다.
때문에 군은 지난 2000년 국비 15억원을 비롯한 25억6천400만원의 사업비를 확보해두고도 해마다 예산을 이월시키는 등 소신없는 행정으로 일관해왔다.
김효가(57) 환경산림과장은 "화북댐 문제로 소홀히 대처해 온 것이 사실"이라며 "쓰레기장 문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중대한 사업인 만큼 주민을 설득하면서 강력하게 추진해 반드시 착공되도록 하겠다"고 했다. 군위.정창구기자 jungc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