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부산.경남이 내년 8월의 낙동강수계 오염총량제 실시를 앞두고 올해 환경부가 실시한 낙동강 수질오염도 결과를 놓고 첨예한 입장차로 갈등을 빚고 있다.
지난해 국회를 통과한 '낙동강 수계 물관리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에 따라 향후 위천을 포함한 낙동강 상류 지역의 공단 조성때는 2003년 수질을 기준으로 삼기로 했는데 올 한해 강우량이 많아 수질이 좋게 나오자 부산.경남측이 신뢰성에 이의를 제기하며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환경부가 올해 1월부터 매월 4차례씩 실시한 낙동강 상.하류 지점 수질오염도 측정 결과는 강정취수장(경북-대구 경계) 지점의 BOD(생화학적 산소요구량)가 1.7mg/ℓ, 고령교(낙동강 중류권) 지점이 2.3mg/ℓ, 달성군 구지면 대암리(대구-경남 경계) 지점이 2.3mg/ℓ, 경남 물금 취수장(낙동강 최하류) 지점이 1.3mg/ℓ등으로 목표수질인 2등급(BOD 3.0mg/ℓ)보다 오염도가 훨씬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10년의 평균 BOD가 강정취수장 지점 2.2mg/ℓ, 고령교 지점 4.7mg/ℓ, 대암 지점 4.5mg/ℓ, 물금 취수장 지점 3.6mg/ℓ 등으로 집계된 것과는 상반된 수치.
이는 지난 30년 평균(8월까지 기준) 강우량이 대구의 경우 804mm에서 올해 8월 기준 1천194mm로, 경북의 경우 836mm에서 1천418mm로 크게 늘어남에 따라, 지난 10년간 평균 유량도 53㎥/sec에서 올 8월 기준 252.4㎥/sec로 많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에 대해 부산시 등은 올해 측정치 결과를 오염총량제 기본계획 수립의 토대로 삼을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부산시 환경정책과 관계자는 "광역시의 수질측정 시한을 1년전으로 정한 이번 법 조항은 현실적으로 문제가 많다"며 "환경부 등에 이미 이 부분에 대한 이견을 강하게 제시해 관계 부처에서도 논의중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낙동강 수질 개선을 위해 법 조항이 반드시 개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진주산업대 환경공학과 박현건 교수는 "올 한해 낙동강 전 수계에 유난히 많은 비가 내린 만큼 각 지점의 수질오염도 측정 자체에 무리가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대구시 수질관리과 관계자는 "오염총량제 하에서는 위천공단.테크노단지 등을 개발하려면 그만큼 다른 부분의 오염도를 줄여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오염총량에는 변동이 없고, 따라서 올해 측정결과를 기준으로 하더라도 부산.경남에 불이익은 없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계명대 환경학부 이태관 교수도 "올해 낮아진 측정결과대로 법을 운용한다면 향후 법 강화 여지가 더 크기 때문에 오히려 부산.경남에는 이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