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과 사람사이의 거리를 좁혀주고 정을 표현하는 데 음식보다 더 좋은 건 없는 것 같다.
서먹하던 사이도 밥 한번 같이 먹으면 편안해지고, 딱딱한 이야기도 식사 자리에선 부드러워진다.
아는 이들을 집에 초대해 늘 먹는 음식도 맛나게 정갈하게 차려내는 이를 보면 부럽다 못해 존경스럽다.
그런 이들 주위엔 늘 사람들이 모여든다.
나라마다 여러 음식이 있지만 따뜻한 정을 나누기에는 우리 나라 음식 만한 게 없고, 이러한 한국 음식의 모든 맛 중 가장 으뜸이 장맛이다.
예로부터 된장은 오덕(五德)이라 하여 다섯 가지 덕을 지니고 있다 하였다.
다른 맛과 섞여도 제 맛을 내는 단심(丹心), 오랫동안 상하지 않는 항심(恒心), 비리고 기름진 냄새를 없애주는 불심(佛心), 매운 맛을 부드럽게 하는 선심(善心), 어떤 음식과도 조화를 잘 이루는 화심(和心)이 그것이다.
돌아가신 할머니의 기억은 아득하지만, 밥 위에 올려 금방 쪄낸 호박잎을 걸쭉하게 끓여낸 된장에 찍어 먹을 때 느껴지던, 할머니의 손맛은 아직도 기억에 생생하다.
조금씩 쌀쌀해지기 시작한 이 계절엔 담북장이 생각난다.
청국장이라는 말도 있지만 나는 담북장이라는 말을 더 좋아한다.
보글거리는 뚝배기 주위에 온 가족이 옹기종기 모여 앉아 저마다 숟가락을 적셔가며 이야기꽃을 피우는, 정겨운 느낌이 피부로 전해져 오기 때문이다.
아랫목에서 띄울 때 콤콤하게 풍기는 그 냄새며, 투박하게 숭숭 썰어 넣은 김치까지, 담북장은 그 이름처럼 정이 담뿍 들어 있는 듯하다.
김치와 담북장의 절묘한 맛의 조화는 담백하고 개운하여 몸뿐 아니라 마음도 편안하게 해준다.
정과 사랑이 넘치는 내 어머니의 음식이다.
'식객'이란 만화에서 작가 허영만은 말한다.
"맛이란 음식에만 깃들여 있는 것이 아니라 음식을 만드는 사람과 그것을 먹는 사람의 마음속에도 함께 한다.
맛이란 모두의 가슴이다.
맛이란 어머니의 음식이다.
그 어머니가 한 사람이 아니듯 맛 또한 어머니의 숫자만큼 많다". 맛있는 담북장이, 어머니의 정이 그리운 계절이다.
강애리 〈사랑이 가득한 치과 병원장〉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