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지역은 지난 한해동안 운수업을 통해 7천761억원의 부가가치를 창출, 전년에 비해 18.8%(1천230억원)정도 늘어남으로써 전국 16개 시.도중 세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구지역의 경우 부가가치 총액이 1조1천304억원이나 증가율에선 3.4%(373억원)에 그쳐 시.도중 세번째로 저조했다.
22일 통계청의 '2002년 운수업통계조사 결과'에 따르면 연간 매출액에서도 경북은 1조3천377억원으로 전년보다 25.7%(2천731억원) 늘어나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대구의 매출액은 1조7천452억원으로 증가율에선 서울(1.6%)에 이어 가장 낮은 2.5%(433억원)였다.
전국 총 매출액은 63조4천883억원으로 5.6%(3조3천686억원) 증가했다.
운수업의 유형별 매출액에선 육상운송업이 46.5%(29조5천452억원)로 가장 많았고 수상운송업 26.1%(16조5천402억원), 운송관련 서비스업 13.9%(8조8천504억원), 항공운송업 13.5%(8조5천526억원)등 이었다.
또한 연간 전국의 부가가치 총액은 31조1천66억원으로 1년전에 비해 7.1% 늘어났으며 인천 24.3%, 전북 23.6% 등의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유형별로는 육상운송업 58.2%(18조968억원), 운송관련 서비스업 21.2%(6조5천828억원), 항공운송업 11.4%(3조5천510억원), 수상운송업 9.2%(2조8천761억원)등.
운수업체 수의 경우 경북이 1만4천582개로 전년보다 7.9%(1천68개), 대구는 1만7천893개로 0.8%(138개) 증가했다.
전국 총 업체수는 29만8천148개로 5.2%(1만4천806개) 늘어났다.
종사자 수에선 경북이 4만174명으로 9.9%(3천612명), 대구는 5만2천143명으로 0.3%(139명) 늘어났다.
전국적으론 97만4천791명으로 3.9%(3만6천361명) 증가했다.
또한 연간 급여액(종사자중 피고용자 대상)에선 전국 총액이 12조8천405억원으로 9.7% 늘어난 가운데 경북은 4천575억원으로 17.1%(667억원), 대구는 4천982억원으로 5.2%(245억원) 증가했다.
서봉대기자 jinyo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