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가 편하게 그리도록 내버려두자. ▶무엇을 그리는지 유심히 살펴라. ▶무의미해 보이는 그림도 차근차근 내용을 물어 보자. 이때 따지듯 캐물으면 자녀는 말문을 닫는다.
▶특정한 그림, 특정한 색깔에 신경을 곤두세우지 말자. 검정이나 빨강, 괴물이나 폭력 장면일지라도 금지하지 말자. '나쁜 그림'은 오히려 마음 속 갈등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대답을 강요하지 말자. 대답을 강요할 경우 어린이들은 그림조차 그리지 않을 수 있다.
▶비교하지 말자. 감정노출과 평가를 두려워하게 된다.
▶언제라도 그리거나 만들 수 있도록 재료를 준비해 두자. 루즈나 크레용으로 벽이나 바닥에 그린다고 금지시키면 어린이는 마음을 닫는다.
▶그림전체를 보자. 제한된 부분으로 병이 아닌가 고민할 필요는 없다.
(도움말.한국미술치료학회 부설 대구미술치료 연구소)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