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 중수부(안대희 검사장)는 10일 '노무현 대통령 측근비리 의혹규명 특검법'이
발효될 경우 헌법재판소에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하거나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내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문효남 대검 수사기획관은 이날 오후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기회에 특검법의 본
질적인 문제에 대해 권한있는 기관에 가이드라인을 구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수사팀
에서는 보고 있다"고 말했다.
문 기획관은 "특검 수사는 검찰이 수사를 안하거나 수사를 했더라도 미진하다고
현저하게 판단될 때 진상규명 차원에서 국회에서 발동하는 것인데, 최근에는 정치적
논리에 의해 좌우되는 경우가 있다"며 "때문에 수사팀은 국회나 행정부를 위해서라
도 특검수사의 정당성을 가리는 기준이 필요하고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검찰도 행정부의 일부인데, 특검법은 국회에 의한 행정권의 제약"이라고
규정, "이제는 정치적 논리가 아닌 법 논리로 특검수사의 정당성 여부를 따져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권한쟁의심판 청구 시점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특검법이 발효되기
전에는 쟁송의 실익이 없어 각하될 수 있다"고 언급, 심판청구를 하게 된다면 특검
법 발효 이후가 될 것임을 내비쳤다.
이에따라 검찰은 이번 특검법이 정식으로 발효될 경우 자체적인 법률검토 작업
등을 거쳐 필요하다고 최종 결론이 나면 헌재에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하면서 특검의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도 함께 낼 계획이다.
대검 수사팀은 현재 진행중인 최도술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에 대한 수사 범위와
이번 '특검법'이 설정하고 있는 특검의 수사범위가 일정부분 겹쳐 권한쟁의심판 청
구 등을 검토하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검찰은 권한쟁의심판 청구 여부와 상관없이 특검이 정식 출범하게 되면 특검법
이 정한 수사범위에 해당하는 자료 등을 넘겨주고, 나머지 측근비리에 대해서는 계
속 수사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연합뉴스)
◇권한쟁의 심판제도란?
검찰이 정치권의 특검 추진에 맞서 적극 검토중
인 권한쟁의 심판청구제도란 국가기관 상호간에 권한이 어느 쪽에 있는지, 또는 권
한이 어디까지 미치는지에 대해 다툼이 생길 경우 해당 기관이 헌법재판소에 침해
여부를 가려줄 것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한 제도를 말한다.
헌법 제111조 제1항 제4호에는 '헌법재판소가 국가기관 상호간, 국가기관과 지
방자치단체간 및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권한쟁의에 관한 심판을 관장한다'고 규정
하고 있다.
권한쟁의 심판제도는 국가기관 사이에 권한의 유무 또는 범위에 관해 다툼이 발
생할 경우 헌재가 이를 심판하도록 해 각 기관에게 주어진 권한을 보호함과 동시에
질서유지를 통해 국가기능의 수행을 원활히 하고 권력 상호간의 견제와 균형을 유지
하려는 데 그 제도적 의의가 있다.
권한쟁의 심판청구는 청구인이 그 사유가 있음을 알게 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그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180일 이내에 청구해야 하며, 이 기간을 지난 청구는 각
하 결정을 받게 된다. 국가기관이 아닌 개인은 청구인 자격이 없다.
또한 청구인은 권한쟁의심판 결정이 나기 전 헌재에 효력정지 가처분을 내 피청
구인의 업무를 일시 정지시킬 수도 있다.
주요 권한쟁의 사례로 1998년 한나라당 의원들이 김대중 당시 대통령의 김종필
총리서리 임명동의안을 거부하며 대통령을 상대로 청구한 바 있으나 헌재는 "국회의
원은 권한쟁의 심판청구의 당사자 자격이 없다"며 각하한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