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역의원.대구시 간담회

13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한나라당 대구의원과 대구시와의 간담회는 내년 예산안 확보에 대한 기대와 만족감이 시종 묻어났다.

조해녕 대구시장은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밀라노 프로젝트를 뺀 19개 신규사업 중 16개 사업에서 예산이 반영됐다"며 "일찍이 없었던 당.정 협력체계를 통한 대성공"으로 평가했다.

상임위에서 증액된 예산이 국회 예결위 심의과정에서 삭감이 불가피하지만 조 시장은 "전액 삭감은 없을 것"이라며 "이미 정부로부터 부분 증액을 약속받았다"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그는 특히 지하철 부채 탕감의 발판을 마련한 '한국지하철공사법'과 '교통시설특별회계법 개정안' 상임위 처리에 대해 "단순한 부채탕감 약속 차원을 넘어 탕감 재원까지 담보한 것으로 평가한다"며 의원들에게 고개를 숙였다.

그러면서 "선진국은 지하철 건설비의 100% 내지 최소 80%는 국가가 부담하는 것이 관례"라며 "정부가 지하철 국비지원율을 50%에서 60%로 끌어올리겠다고는 하나 선진국처럼 가야한다"고 소신을 밝혔다.

이에 대해 이해봉 대구시지부장은 "지금까지 '국회의원들이 한 게 뭐냐'는 식의 비아냥도 적지 않았으나 지역 정치권의 협력으로 과거에 볼 수 없었던 엄청난 일을 했다"며 "향후 예결위에서 다시 한번 공조해 예산을 챙기자"고 말했다.

박종근 국회 계수조정소위원장은 "과거 KIST, KAIST, 광주과기연 등이 출범할 때 200억~400억원이 투입된 만큼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KIST)도 그 전례에 따라 예산을 올려야 한다는 논리를 펴겠다"며 의지를 다졌다.

박 위원장은 또 "밀라노 프로젝트 후속대책 5개년 사업에 대한 정부지원 규모를 1천300억원에서 1천500억원으로 늘리도록 공세를 취하겠다"고 귀띔했다.

조 시장은 이와 함께 위천공단의 국가산업단지 신청과 관련, "산업단지를 서둘러 신청할 생각도, 또 방치할 이유도 없다"고 전제한 뒤 "테크노폴리스 사업의 큰 그림위에 달성군 현풍은 R&D를, 위천은 물류단지를 조성할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