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LG카드, 1차 부도위기 모면

LG카드가 27일 교보생명이 제시한 약속어음 3천

25억원을 상환, 1차 부도위기를 모면했다.

하지만 LG카드가 이번 채무 상환여부를 놓고 오후 늦게까지 진통을 겪으면서 제

1차 부도위기 상황까지 내몰리자 금융위기 재발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제2금융권에서 교보생명과 같은 이유를 들어 채무상환을 잇따라 요구할 경

우 자칫 가까스로 봉합된 LG카드 사태가 제2라운드의 위기를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제2금융권의 상환요구에 대해 은행 채권단에서 지원을 약속한 2조원

으로 채무상환을 계속해 나갈 수 있는 지가 향후 위기재발 여부의 관건이 되고 있다.

LG카드는 그러나 이번에 만기가 돌아온 교보생명의 채권은 월말 카드결제 대금

명목으로 입금된 자금이 1조5천억원 가량 있었기 때문에 교보생명의 채무를 정상적

으로 결재하는 데 별다른 문제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또 금융당국 관계자는 "교보생명과 같은 매출채권을 가진 채권자들이 많지 않지

않다"면서 "나머지 기업어음(CP) 등의 어음은 만기연장 대상이기 때문에 이번 사태

로 인해 위기가 재발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같은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LG카드와 은행채권단. 금융감독 당

국에서 만기가 돌아오는 채권상환에 대해 보다 분명한 처리기준을 제시해 시장참여

자들이 시장상황을 예측 가능하도록 만드는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금융전문가들은

지적했다.

또 LG그룹에서 LG카드의 매각이나 자본확충 등을 통한 자구계획을 시장이 납득

할 수 있는 수준까지 제시, LG카드가 타이머가 고장나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

과 같은 통제불능 상황이 아님을 분명히 보여줘야 한다는 금융권의 공통된 의견이다.

금융계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제2금융권의 만기연장에 대한 구체적인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빚어졌다"면서 "금융감독당국이 금융위기 상황에서

적절한 개입을 통해 보다 분명한 수습에 나서야 했다"고 강조했다.

금융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LG카드에 대해 은행에서 2조원을 지원키로 했고 금

융감독당국도 부도가 발생, 금융시장이 일시에 공황사태에 빠져 공멸하는 상황을 원

치않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면서 "제2금융권에서 만기가 되어 오는 채권

의 연장만 제대로 이뤄진다면 금융위기로 가는 상황은 없을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

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