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취업 포기하는 청년 실업자

20, 30대 실업자 일부가 취업활동을 포기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은 사회 동력(動力)의 저하 그 자체다.

겉도는 정부의 실업자 대책에 대한 실망감 표출의 결과로도 볼 수 있다.

대구.경북 지역의 20, 30대 구직자 수가 급감한다는 충격적인 집계다.

지난해 4/4분기 구직자 수가 전년 동기(同期)와 비교할 때 대구가 40%, 경북의 경우 19.8%가 줄어들어 실업자의 상당수가 구직활동 자체를 포기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런 상황은 정부의 겉도는 실업대책이 중요 요인이다.

특히 청년실업에 대한 정부의 방책에 선뜻 동의못하는 대목이 더러 있다.

정부는 올해 공공부문 일자리를 작년보다 8만개를 더 늘리겠다고 했다.

공무원 신규채용도 3만명선으로 늘려잡았다.

정보통신분야에서 3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대졸자에게 주문형 직업훈련 기회를 제공하고 고졸 미취업자 2만여명에게 조선.자동차 분야 등을 중심으로 취업연계 훈련을 실시키로 했다.

이같은 대책은 지금까지 보아 온 역대정권의 틀을 벗어 나지 못한다.

실질적인 효과도 미지수다.

예산 쏟아 붓기식이 아닌가. 이런 '단기(短期) 일자리 창출'로는 청년 구직자수 감소 상황을 해결하지 못한다.

공공부문 근로자에 초점 맞춘 듯한 땜질식으로는 '총선용 대책'이라는 비난도 나올 수 있는 일이다.

우리는 장기적이고 정밀한 대책을 바란다.

사실 실업자 해결의 근본책은 '기업체 일자리 늘리기'다.

기업체 경쟁력 제고, 생산활동 등을 뒷받침 하는 국가의 역할이 관건이다.

청년(15~29세) 취업자 중 절반이 임시.일용직인 고용구조로는 생산성 향상은 기대 하기가 어렵다.

늘 산학(産學) 협력을 강화 한다고 하지만 각 부처가 딴 생각인, 그저 계획 발표로는 죽도 밥도 안된다.

청년실업자가 전체 실업자의 절반을 차지 하는 국가, 오명 벗어야 한다.

활기찬 젊은이들의 보폭(步幅)을 넓히기 위해서.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