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지 돌았어", "윗통 까고", "없는 것들이 입
이 비싸죠"
지상파 방송 3사의 심야시간대 FM 라디오 프로그램 진행자와 출연자들이 비속어
와 은어, 인터넷 용어, 불필요한 외국어를 남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방송위원회 산하 방송언어특별위원회(위원장 고흥숙)가 지난 1월30
-31일 KBS, MBC, SBS 등 방송 3사의 심야시간대 FM 라디오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실
시한 진행자 및 출연자 언어사용 실태조사에서 나왔다.
조사대상은 지상파 3사의 FM 심야음악프로그램인 KBS 2FM '이본의 볼륨을 높여
요'와 '이민우의 자유선언', MBC FM의 '은지원의 친한 친구'와 '이소라 FM음악도시',
SBS FM '하하몽의 영스트리트'와 'Fly to the sky의 1010 클럽' 등 6편이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들 프로그램 진행자와 출연자들은 비속어, 인격비하적이고
폭력적인 언어외에도 '얼짱' '몸짱'은 물론 '노래짱', '성대모사짱', '뜨아', '말했
쪄', '-중이거덩요'" 등 국적불명의 속어와 인터넷 용어를 그대로 사용했다.
또한 '럭셔리', '데미지', '플레이', '오픈', '하우스' 등 외국어를 남발하고
있을 뿐 아니라 아예 "What's up?" 등 시작인사를 영어로 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부 진행자들은 '-과', '최대한', '쥐약'처럼 이중모음으로 발음해야 하는 단
어를 '-가', '체대한', '지약'처럼 단모음으로 발음하거나 '조르다', '좀', '거꾸로'
등을 '쪼르다', '쫌', '꺼꾸로' 처럼 경음으로 발음하기도 했다.
방송언어특별위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해당 방송사에 시정을 권고하는
한편 해당 프로그램의 제작자와 진행자들에게도 개별적으로 정확한 언어구사를 권고
하기로 했다.
특위는 "방송사가 잘못된 언어생활에 비판없이 편승하는 것은 방송의 공적 책임
을 저버리는 것"이라며 "상황이나 문맥에 맞게 적절한 대체어를 제시하고 바른 언어
생활에 이바지해야 한다"고 밝혔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