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의 처우에 대한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대구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채용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한국노동연구원이 지난해 말 중앙행정기관(49개), 공기업 및 산하기관(212개), 지방자치단체(16개), 국립대학(50개)을 포함한 교육기관 등 공공부문을 대상으로 '비정규직 실태 및 개선방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비정규 근로자가 23만4천명으로 전체 근로자 124만9천명의 18.8%를 차지했다.
특히 대구시의 비정규 근로자 활용비중은 전체 1만2천817명 중 2천809명으로 21.9%를 차지, 16개 지방자치단체 중 제주도 24.8%(6천114명 중 1천518명) 다음으로 가장 높았다. 울산시 21.0%, 부산시가 20.4%로 대구의 뒤를 이었고 서울이 3.5%로 가장 낮았다. 반면 경북은 13.5%로 서울.충남 다음으로 낮게 나타났다.
노동연구원 관계자는 "서울시의 비정규근로자 활용도가 낮은 것은 비정규근로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환경미화원(36.5%)과 단순노무원(35.4%)을 정규직화했기 때문"이라며 "대부분 기관에서 비정규근로자를 많이 활용하는 이유로 '정원증원의 어려움'을 들었다"고 말했다.
비정규직의 월평균 임금은 중앙행정기관 사무보조원의 경우 기능직 10급 3호봉 대비 65% 수준인 75만9천원, 노동부 직업상담원은 공무원 9급 3호봉의 약 94%인 142만8천원, 전업시간강사는 77만8천원 등으로 각각 조사됐다.
한편 지난해 전체 임금근로자 1천41만9천명 중 비정규직은 32.8%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