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목일은 그저 쉬는 날(?)'
식목일을 둘러싼 논란이 올해도 식지 않을 것 같다.
정부가 녹화사업을 장려하기 위해 지정한 식목일은 4월 5일. 그러나 대구시청과 8개 구.군청은 이미 지난 12일을 전후해 식목행사를 대부분 끝내 식목일의 의미가 사실상 사라졌기 때문. 시는 13일 대구 두류공원 금봉산에서 식목행사를 갖고 1천500그루의 나무를 심었으며 동구는 지묘동의 왕산에서 고로쇠나무 등 4종 770그루, 서구와 북구는 같은 날 상리공원과 침산공원에서 이팝나무 100~500여 그루를 식재했다.
또 달성군이 대구에서 마지막으로 20일쯤 식목행사에 나설 계획이다.
그러기에 올해 식목일도 예전과 다름없이 '달력상 빨간 날', 즉 공휴일이란 의미밖에 남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올 4월 4일이 일요일인 탓에 공무원이나 직장인들에게는 더욱 달콤한 연휴가 될 것 같다.
식목일이 기념일 및 공휴일로 지정된 것은 지난 1949년 대통령령으로 제정되면서 시작됐다.
60년 사방의 날(3월 15일)이 생기면서 사라졌지만 61년 다시 부활해 지금껏 이어져 오고 있다.
문제는 현재의 식목일이 서울기준으로 돼 있다는 점. 영남이나 전라권은 봄이 일찍 찾아와 3월 중순이 식목에 가장 적합한 기후다.
사실상 4월 이후로는 서울.경기 지역에서나 식목이 가능할 뿐이다.
이 때문에 남부지역에서는 실제로 나무심는 날과 공휴일로 지정된 식목일이 어긋날 수밖에 없다.
대구시 녹지과 관계자는 "기후 특성을 고려, 몇년 전부터는 식목일보다 한달 정도 앞당겨 경칩(驚蟄)을 전후해 식목행사를 하고 있다"면서 "식목일때는 청명.한식이 겹쳐 많은 공무원들이 산불예방 활동에 나선다"고 말했다.
59회째를 맞는 올해 식목일에도 대구에서는 별다른 행사를 찾아보기 어렵다.
또 지자체별로 기후 특성에 맞는 '식목일'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몇년 전부터 꾸준히 제기돼 왔다.
주5일 근무가 본격 실시되는 내년부터는 식목일이 공휴일에서 사라질 가능성도 높아 굳이 4월 5일을 식목일로 고집할 이유도 사라졌다.
서울 위주의 획일주의에서 벗어난, 지방의 자율성 확보를 위한 분권의 목소리가 어느 때보다 높은 시점이다.
내년부터는 대구와 경북에 맞는 '식목일'을 기대해본다.
사회1부.이호준기자 hpoer@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