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EBS 수능강의 사이트 'www.ebsi.co.kr'

교육방송(EBS)은 4월 1일부터 제공하는 수능강의 전용 사이트를 'EBS 인터넷 수능학교(www.ebsi.co.kr)'로 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수능 전문 위성케이블 채널인 EBS 플러스1을 통해 방송된 중급 수준의 수능강의와 인터넷으로만 공급되는 초급 및 고급 수준의 수능강의가 모두 이 전용 사이트에 오른다.

회원가입을 해야 모든 수능강의 동영상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기존 EBS 인터넷 회원도 따로 가입해야 하며 14세 이상 이용자만 실명으로 가입할 수 있다.

학생의 경우 재학 학교, 진학 희망 학교, 선택영역 등 부가 정보를 입력하면 개개인에게 적합한 맞춤 콘텐츠와 진학정보가 제공된다.

학부모나 교사도 '학부모/선생님'에 체크한 뒤 가입하면 강의도 들을 수 있으며 학부모는 자신의 자녀에 한해, 교사는 학생 50명까지 이 사이트를 통해 수업을 받은 내역 등도 조회할 수 있다. 모든 강좌는 학년별.영역별 및 초.중.고급별로 제공돼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다.

체계적 학사관리를 위해 수강신청 절차를 밟아야 하고, 또 무분별한 수강신청에 따른 접속난 등을 막기 위해 동시에 신청할 수 있는 강좌가 30강좌로 제한된다.

따라서 30강좌를 넘겨 또다른 강좌를 신청하려면 한 강좌를 취소해야 하며 일단 취소하면 15일간 다시 신청할 수 없고, 같은 강좌를 2차례 취소할 경우 재신청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단 신청하고 보자'는 식보다는 자기 수준에 맞춰 필요한 과목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신청한 강의는 '마이 클래스'에서 언제든지 학습할 수 있고 앞으로 들으려는 강의는 '마이 클래스'의 '찜한 수업'에서 수강신청하면 된다.

강좌별로 사이버 담임교사가 지정되고 진도 체크와 질의응답 서비스가 제공되며 학습이 모두 끝난 강의는 보충수업으로 이동, 계속 복습할 수 있다.

'교무실'에 가면 강사와 상담교사들의 약력과 저서, 담당 강좌 등 모든 정보를 볼 수 있고 EBSi뉴스, 입시/진학정보, 알림판 등으로 구성된 '입시도서관'에서는 대학입시 정보를 포함한 각종 진학정보를 제공한다.

'상담실'에서는 수험생 정신건강을 위한 심리검사와 심리상담, 또 이용 중 궁금한 내용을 1대1 상담해주고 자신의 적성에 어떤 분야가 적합한지, 자신의 심리에 적합한 공부방법은 어떤 것인지 등에 대한 적성검사도 해준다.

'Q&A' 코너에는 강사와 교사, 대학원생 등 200여명이 상주하며 과목별 강의내용 및 교과내용에 대한 질의에 답변해주고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상담해주며 상담교사의 인적사항이 공개돼 '추천'식 평가도 실시된다.

EBS는 앞으로 선배나 사회 저명인사, 교육부 관계자 등 수능시험 전문가들이 제공하는 칼럼과 학생들끼리 학습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학생 커뮤니티 등을 운영하고 친구찾기.채팅 및 쪽지 전달 등의 기능을 추가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