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 "철회할 수 없을 것"

야권이 노무현 대통령 탄핵 강행 처리에 대한 대가를 톡톡히 치르고 있다.

한나라당은 탄핵소추안 철회를 공론화하며 당론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고 민주당도 지도부의 당직사퇴설이 제기되는 등 내홍이 끊이지 않는다.

민주당은 최근 조순형(趙舜衡) 대표 및 당 지도부 전원의 집단사퇴설이 제기되는 등 상황이 심각하게 돌아갔다.

21일 중앙위원회에서 조 대표가 "탄핵이 결과적으로 나쁜 결과를 초래했다.

책임을 지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도부 일괄 사퇴론이 불거졌으나 조 대표는 22일 상임중앙위원회에서 이같은 사퇴론을 일축하고 탄핵처리 찬성에 대한 소신을 재확인했다.

조 대표는 이날 "탄핵철회론은 무책임하고 기회주의적인 행동"이라며 강하게 비판하고, "형사사건이나 소송사건도 아니고…철회가 말이 되느냐"고 반문했다.

"떠나고 싶은 사람이 조용히 떠나라"며 반대파들에 대해 강수를 두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당직을 사퇴한 추미애(秋美愛) 상임중앙위원과 일부 소장파 의원들을 중심으로 지도부 사퇴를 계속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논란이 확산될 전망이다.

한나라당도 안상수(安商守) 의원의 설문조사 논란에 이어 당 대표에 도전한 김문수(金文洙) 의원의 철회주장에다 소장파 의원들의 집단반발 운동까지 탄핵처리에 대한 잡음이 끊이질 않는다.

이를 바라보는 여권의 시각은 복합적이다.

야권 일부의 탄핵 철회 주장에 대해 "스스로 잘못됐음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지만 실제 탄핵이 철회될 것으로는 보지 않는다.

정동영(鄭東泳) 의장은 "야당은 선거 때문에 탄핵안을 냈고 선거 때문에 철회한다는 데 그 과정에서 어떤 진정성도 찾을 수 없다"면서 "철회 이전에 사과부터 하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탄핵 철회 가능성에 대해 정 의장은 "자신들의 실체와 정체성을 송두리째 부정하는 일이 될 것"이라며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청와대는 탄핵 철회 논란에 대해 "가타부타할 입장이 아니다"며 직접적 대응을 삼갔으나 한 관계자는 "탄핵이란 국가적 중대사를 놓고 애들 장난하는 것도 아니고 보기 민망하다"고 꼬집었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