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통은 인구의 약 80%가 일생에 한번은 경험한다고 할 만큼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의 하나다.
특히 산업장에서 큰 문제가 되는 질병으로 작업 장애의 가장 큰 원인이다.
이런 요통은 30~50대의 연령에서 주로 발생하나 최근의 연구에서는 척추관련 질환자의 연령이 점점 낮아져 청소년과 20, 30대 척추 질환자가 급증하고 있음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는 최근 들어 장시간 앉아서 공부를 하거나 컴퓨터와 운전 등 생활습관의 변화와도 일부 관련이 있을 것이다.
요통이 일어나는 부위인 요추는 5개의 척추 뼈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척추 뼈는 앞쪽에 둥근 형태의 척추체와 뒤쪽에 중간이 빈 형태의 환형의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어 이 공간으로 뇌와 연결된 척수가 지나가게 되며 여기에서 양측으로 신경근이 나와서 다리로 가는 신경이 된다.
위 아래의 척추체 사이에는 추간판(디스크)가 있고 이곳은 우리가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릴 때 힘이 집중되는 곳으로 뼈 사이에서 충격을 막는 완충작용을 한다.
추간판은 바깥의 윤상인대와 속의 수핵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척추뼈 주위에는 많은 인대들과 근육들이 둘러싸고 있어 척추를 보호하고 있다.
요통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일명 '디스크'라고 알려져 있는 추간판 탈출증과 외상에 의한 척추 염좌, 척추 분리증과 척추 전방 전위증, 척추관 협착증, 골다공증, 척추 측만증, 척추의 퇴행성관절염 등의 질환이 있다.
물론 급성 손상이 요통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대개의 요통은 갑자기 생기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에 걸쳐서 반복된 자극으로 척추의 손상이 누적 되어 척추에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고 요통을 일으키게 된다.
대개는 치료를 하면 곧 호전되지만 일부는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게 되고 이러한 경우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작업장에서도 장애를 나타낼 수 있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요통치료의 목적은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척추의 퇴행변화를 늦추고 재발을 방지해 더 이상의 손상을 예방하고 만성 요통으로의 진행을 억제하는데 있다.
요통이 얼마나 빨리 호전될 것인가, 혹은 만성요통이 될 것인가 하는 것은 전반적인 척추의 상태와 환자 자신에게 달려있다.
즉 요통의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의 노력뿐만 아니라 환자가 자신의 요통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자신의 허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를 알아 치료에 적극 협력하고 원인 및 악화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지인 대구가톨릭의료원 재활의학과 과장
▨약력
△경북대 의대 졸업 △재활의학과 전문의 △대구가톨릭의료원 재활의학과 과장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