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大邱.慶北 통합' 經濟문제부터

아무리 지방분권시대라 하지만 합쳐짐으로써 효율성이 높아지는 것이 바로 '대구.경북 통합'이다.

그러나 그 필요성과 당위성은 인정하면서도 막상 행동으로 옮기기가 어려운 것 또한 현실이다.

따라서 이런 난제(難題)들을 극복하고 통합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한 대구와 경북 지역민들의 역량이 어느 때보다 요구되는 시점이다.

매일신문이 대구.경북지역 17대 총선 출마자 132명을 대상으로 '지방자치시대의 효율적인 발전을 도모하고 사회문화적 동질성 확보를 위해 과연 시도 통합이 바람직한가'라는 설문 조사 결과, 응답자 중 60%인 80명이 시.도통합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새삼스런 통계는 아니지만 이제 대구와 경북은 한 단계 높은 성숙된 자세로 통합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루어야할 시기가 된 것은 틀림없다.

이미 대구와 경북은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한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지난해 전국 최초로 발족한 '대구경북분권혁신협의회'를 확대 개편하여 국가균형발전특별법상의 지역혁신 사업계획 심의기구인 초광역 '지역혁신협의회'로 발전시키기로 합의했다.

여기서 선정된 공동산업은 앞으로 시.도간 협력사업의 근간이 될 것이다.

한방산업, 문화산업, 임베디드산업이 바로 그것이다.

특히 대구와 경북이 통합해 추진할 것인지, 지역별로 분리할 것인지를 두고 진통을 겪었던 '지역대학 혁신역량강화(NURI)사업'도 최근 통합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또 산업자원부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 육성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국가 나노기술 집적센터'도 포항에 설립될 가능성이 높은만큼 시.도간의 연계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더구나 총선이 끝나면 정부기관의 지방이전이 본격화될 것이다.

대구와 경북이 미시적인 안목으로 서로 '유치 전쟁'을 벌인다면 둘다 피해를 입게된다.

'협력과 화합'의 전략적인 목표를 세워야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제 통합을 원하는 지역민들의 요구에 걸맞게 대구시와 경북도는 경제분야에서부터 가시적인 결실을 맺어나가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