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나라, 대구.경북 재.보선 공천신청 마감

한나라당은 인물 풍년, 열린우리당은 인물난.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이 28일까지 사흘간 6.5 보궐선거 1차 공천 신청서 접수를 마감한 결과 지난 총선에서 대구.경북지역의 한나라당 압승을 입증이라도 하듯 여소야다(與少野多) 현상이 두드러졌다.

대구 달서구 시의원의 경우 여당 후보는 한 명도 없다.

한나라당에는 대구 동구청장의 경우 9명, 북구청장에는 10명의 신청자가 접수를 마쳤다.

특히 북구청장의 경우 경남 양산시장과 함께 신청자가 가장 많이 몰린 곳으로 기록됐다.

반면 열린우리당에는 동구청장에 1명, 북구청장에 3명이 신청하는데 그쳤다.

이 같이 한나라당에 신청자가 많이 몰린 것은 '한나라당 공천=당선'이라는 기류와 함께 출마희망자들 사이에 선거법 개정 등의 영향으로 지난 총선에서 나타났듯 선거에 큰 돈이 들지 않아도 된다는 의식이 팽배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경북도의원(영주2)의 경우도 한나라당에는 모두 5명이 신청했으나 열린우리당에는 1명만 신청했다.

대구시의원(달서2)의 경우 한나라당에서 2명이 신청했다.

사람들이 몰린 한나라당과 달리 열린우리당은 추가로 후보 등록일(5월21일)까지 시간을 두고 후보를 물색한다는 방침이다.

총선 결과로 볼 때 지역 정서도 그리 호의적이지 않은데다 공천에서마저 '평년작' 이상을 거두지 못할 경우 가뜩이나 '하나마나'라는 전망이 강한 선거를 더욱 그르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한나라당 역시 일부 선거의 경우 추가 신청서를 접수, 최적의 인물을 공천한다는 방침이어서 공천자가 확정 발표될 때까지 신청자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한편 지역 정치권에서는 한나라당 후보 공천이 확정되면 한나라당이 휩쓴 총선 결과에 비춰볼 때 사실상 선거는 끝이 난 것이나 다름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중론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열린우리당이나 무소속 후보 진영에서 출마 자체가 의미가 없을 것이라는 비관론마저 강해 보궐선거의 정치적 의미를 더욱 축소시키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나라당 공천 신청자들도 한나라당 공천 경쟁이 사실상 본 선거보다 훨씬 더 치열하고 통과하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한나라당 공천자가 확정될 경우 '한나라당 공천=당선'이라는 등식을 믿고 이를 기대했던 상당수 탈락자들이 출마를 포기할 것으로 보여 본선 경쟁률은 훨씬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동관기자 llddkk@imaeil.com

다음은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 후보의 공천신청서 접수결과다.

기타는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 이외 정당과 무소속으로 해당 선관위에 예비후보로 등록된 명단이다.

◇대구 동구청장

▲한나라당

김영철 57 전 동구청 총무국장

류승백 53 대구시의원

류중근 61 정당인

배석기 47 대구가톨릭대학 겸임교수

서찬수 48 대구경북개발연구원 연구기획실장

이곤 43 전 대구시의원

이영환 60 전 육군3사 교수

이윤원 59 전 동구의회 사무국장

이훈 63 대구지하철공사 사장

▲열린우리당

오진필 58 동구의회 부의장

▲기타

무 서창교 43 유원CMC 대표

무 최규태 62 경동정보대 겸임교수

◇대구 북구청장

▲한나라당

권오상 44 변호사

김종신 44 영진전문대 교수

김충환 42 대구시의원

이달희 42 여 당 시지부 여성부장

이석중 50 북구 재향군인회 회장

이인우 52 프레스25 대구경북 본부장

이재술 42 대구시의원

이창연 38 한주데이타 대표이사

장경훈 58 대구시의원

홍동현 48 전 당 대구시지부 사무처장

▲열린우리당

박인숙 41 여 이웃을 사랑하는 사람들 회장

안경욱 39 전 민주당 지구당위원장

이용재 38 개혁당 지구당위원장

▲기타

무 박인환 45 전 문희갑 대구시장 특보

◇대구시의원(달서2)

▲한나라당

도이환 48 달서구의원

허성구 53 대구시교육위원

◇경북도의원(영주2)

▲한나라당

민병호 44 한국농업경영인 영주연합회장

송강선 57 야성 송씨 종친회 명예회장

장찬식 49 JC 경북특우회 부회장

조진우 38 국민생활체육 바둑연합회 부회장

황은경 36 여 ING푸드 대표이사

▲열린우리당

전재문 39 대우차 영주동대리점 대표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