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이 갈수록 심각해지면서 공공근로나 관공서의 파트타임 일자리를 찾는 청년 미취업자들이 크게 늘고 있으나, 예산과 채용 규모는 오히려 계속 줄어들고 있다.
특히 지난 1/4분기 대구의 청년 실업률이 10.2%로 전국 평균 8.9%보다 훨씬 높은 실정이어서 청년 미취업자들을 위한 공공부문의 단기고용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대구시와 각 구.군이 지난 21일까지 접수한 '대졸 미취업자 파트타임' 2차 모집에는 500여명 정원에 700여명이 신청했다. 이는 지난 1/4분기의 1차 모집 때 400여명의 정원을 겨우 채운 것과는 전혀 다른 모습. 서구청의 경우 1차 모집(80여명)에 90명이 신청했는데 이번에는 채용 규모의 2배가 넘는 160여명이 몰렸고, 마감 이후에도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인기에도 불구하고 파트타임 채용인원은 지난해 1천100명에서 올해 800명으로 줄었고, 예산도 10억원에서 7억원으로 30% 감소했다. 게다가 내년에는 전반적인 공공근로사업 축소에 따라 올해의 인력.예산 수준조차 확보하기가 힘든 형편이다.
서구청 취업상담실 관계자는 "1일 4시간 근무에 1만4천원(시급 3천500원)이 지급되는데다 주 5일 근무에 토요일 휴무수당까지 있어 취업 준비생들에게는 취업 공부와 병행할 수 있는 매력적인 일자리"라며 "내년에도 최소한 이 정도의 규모나마 유지했으면 한다"고 안타까워했다. 20~29세를 대상으로 한 청년 공공근로 사업도 예년에 비해 크게 줄었다.
대구시는 지난해 30억원의 예산을 편성해 1천500여명에 일자리를 줬으나 올해는 24억원 예산에 1천200여명을 채용하는데 그칠 계획인 것. 이마저도 내년에는 행자부의 예산지원이 불투명해 채용 규모를 대폭 줄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대구시 실업대책계 담당자는 "대구의 청년 실업률이 전국 3, 4위에 들 정도로 심각한 만큼 단기적이나마 공공기관에서라도 이들을 흡수해 줘야 한다"며 "그러나 이에 대한 예산은 갈수록 축소될 것으로 보여 각 구.군의 취업정보센터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마련중"이라고 밝혔다.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