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인으로 서양 인쇄술에 일대 변혁을 일으켰던 구텐베르크(1400~1468)가 화려한 전성기를 마치고 고향 마인츠로 돌아와 어렵게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백발이 무성한 구텐베르크를 만났다.
-흔히 금속활자를 최초로 발명한 사람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는 이미 고려에서 나왔다고 하는데….
△저는 금속활자를 최초로 발명한 게 아니라, 대량으로 책을 찍어내는 활판 인쇄술을 최초로 발명, 보급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저의 인쇄기계 덕분에 대량 인쇄가 가능했습니다.
-새 활판 인쇄술로 맨 처음 찍어낸 책은 무엇입니까?
△1454년 '구텐베르크 성경'을 첫 출판했습니다.
이후 유럽의 주요국가에 약 1천개의 인쇄소가 들어선 것으로 압니다.
저렴한 비용으로 외국에서 발표된 각종 자료를 손쉽게 구해 읽을 수 있게 된 것이지요.
-당신의 인쇄술 발명 이전에는 주로 성경이나 책을 어떻게 인쇄했습니까?
△중세 시대에 신부들은 주로 방에서 성경이나 책을 옮겨 적느라 많은 시간을 보내야 했습니다.
활판 인쇄술이 부족하니 일일이 적어야 했지요. 그 때에 비하면 책값이 참 많이 떨어졌습니다.
책값이 비싸다 보니 책을 구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대부분 소수의 부유한 귀족이었고요.
-대규모 인쇄술 보급이 앞으로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십니까?
△책 제작비가 절감된 만큼 일반인들도 그리스어나 히브리어로 찍힌 각종 고전문헌들을 손쉽게 접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정보와 지식을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은 상당히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봅니다.
-새 인쇄술 발명으로 돈은 좀 벌었습니까?
△그게 좀 아쉽습니다.
처음엔 돈을 좀 벌었는데 동업자와 분배문제로 재판까지 치렀습니다.
요즘은 마인츠의 대주교가 옷과 양식을 대 주는 형편입니다.
조두진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