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반복되는 수해와 복구지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문인력 확충과 피해조사, 예산집행, 입찰 절차 등 복구 시스템의 보완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수해와 복구의 악순환을 막기 위해서는 피해조사와 예산 확보, 입찰제도의 기간과 절차 등을 간소화해 보다 근본적인 예방과 복구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것.
2년 연속 태풍으로 피해가 많았던 청송.영양지역은 아직도 복구 공사가 끝나지 않은 곳이 많아 주민들이 불안해 하고 있다.
청송군 청송읍 부곡리 속칭 논시골 마을입구 교량개체 공사장의 경우 지난 21일 내린 폭우로 하천이 범람하자 이 마을 주민 30가구 70여명이 하후 동안 고립됐다.
또 영양군 영양읍 현리 마을 입구 하천폭 및 교량 확장공사로 마을 주민들은 강건너편에 있는 논밭으로 농사를 짓기 위해 먼 길을 돌아가는 불편을 겪고 있다.
남병철(67.영양읍)씨는 "늦은 교량확장공사로 3km를 돌아서 밭으로 가는 등 거리가 멀어져 불편하다"며 "수해 복구공사가 늦게 발주되었기 때문에 불편은 앞으로 몇 개월을 더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마철로 접어들었지만 이처럼 수해 복구 공사가 미진한 것은 구조적인 원인 때문이다.
청송.영양군청 관계자들은 "수해피해가 발생하면 조사해 보고하고 다시 중앙부처 확인을 거친 다음 예산을 확보하는 등 다소 시일이 소요된다"며 "복구 추진 과정에 기술 인력 부족, 주민들과의 보상협의 지연과 함께 올해는 관수 철근 및 레미콘 품귀 현상까지 겹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고 말했다.
수해복구에 나선 전문가들은 일선 지방자치단체의 전문 기술인력과 중앙 부처에서 나온 공무원들이 공동으로 피해 조사를 실시하고, 수해 발생에 대비해 미리 예산을 마련, 선복구에 나선다면 복구공사 지연으로 인한 반복되는 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청송.영양 김경돈기자 kdo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